보이지 않는 조각, 몸으로 느끼는 예술

보이지 않는 조각, 몸으로 느끼는 예술

서미애 기자
서미애 기자
입력 2025-04-18 08:34
수정 2025-04-18 08: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ACC 핫이슈] ▩송예슬 작가
시각 중심 예술 퍠러다임 탈피 비시각적 예술 제안

이미지 확대
송예슬 작가.
송예슬 작가.


“당신의 손은 지금, 어떤 형태를 느끼고 있나요?”

작가는 묻는다. 눈앞에는 아무것도 없지만, 손을 뻗는 순간 손끝으로 진동이 전해진다. 실체 없는 조각, 보이지 않는 형태를 감지하는 일은 오롯이 관람자의 몫이다.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복합전시관 6관에서 17일부터 열리고 있는 전시 ‘우리의 몸에는 타인이 깃든다’에서, 송예슬 작가는 감각의 경계를 허무는 실험적 작업을 선보여 화제다.

송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보이지 않는 조각들: 공기조각과 신작 ‘아슬아슬’을 통해, 시각 중심의 예술 패러다임에서 벗어난 비시각적 예술을 제안한다.

신작 ‘아슬아슬’은 관람객의 참여 없이는 완성될 수 없는 인터랙티브 작품이다. 두 명이 긴 장대의 양 끝을 잡고 나란히 걷는 방식으로, 휠체어 사용자 등 다양한 신체 조건을 고려해 설계됐다. 작품은 참가자 간의 호흡과 균형을 통해 ‘공동의 리듬’을 실험한다. 실제 전시장에서는 헤드폰을 쓴 두 여성이 눈빛과 숨결만으로 장대의 수평을 맞췄고, 이 순간 조명이 환히 켜지며 작품은 완성됐다.

이 전시에서 관람자는 외부의 관찰자가 아니다. 몸을 통해 소통하고, 작품을 완성하며, 타인의 존재와 리듬을 감각하는 ‘감각 공동체’의 일원이 된다.

송 작가는 “다른 사람의 몸을 관찰하고, 그 몸에 나를 투영해보는 작업입니다. 정서적으로는 모르지만, 몸이 먼저 가까워지는 기묘한 경험이죠”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송예슬 작가와 박예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학예연구사가 신작 ‘아슬아슬’을 직접 작품에 참여하는 방법을 선보이고 있다.
송예슬 작가와 박예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학예연구사가 신작 ‘아슬아슬’을 직접 작품에 참여하는 방법을 선보이고 있다.


또 다른 작품 ‘보이지 않는 조각들: 공기조각’은 공기를 조각의 재료로 삼은 실험이다. 초음파 파장과 맞춤형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공기의 흐름을 조율하고, 관람자의 손동작에 따라 공중의 형태가 실시간으로 변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조각은 오직 손끝에서만 감지되며, 그 순간에만 존재한다.

송 작가는 “보이지 않고, 형태도 없고, 금방 사라지는 것을 감각할 수 있을까? 그 감각은 누구의 몸 때문일까?”라는 질문에서 작업이 출발했다고 밝혔다. 그는 “형태는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관객의 감각 안에서 발생하는 것”이라며 “손이 닿는 순간 조각은 완성된다”고 강조했다.

작품을 체험한 관람객 이지은(34) 씨는 “아무것도 없는 줄 알았는데, 손끝에서 뭔가를 만졌다는 느낌이 생생하다”며 “조각이 아니라 내가 조각이 된 기분”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전시장 관계자는 “우리의 심장은 똑같이 뛰지 않지만, 같은 리듬으로 함께 걷는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질문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감각의 위계를 뒤집고, 예술의 역할을 되묻는 이번 전시는 오는 8월까지 이어진다.

생각이 안개처럼 흐릿할 때, 몸으로 느끼는 예술이 길을 비춰줄지도 모른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4 / 5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