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하루에 오랫동안 사용하면 충혈, 안구 건조 등 각종 안구 증상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병원 박수경(예방의학)·유형곤(안과) 교수팀은 서울, 부산, 시흥에 사는 중·고등학생 7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안과 역학지’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청소년의 장시간 스마트폰 사용이 시야 흐림, 충혈, 시야 장애, 분비물, 염증, 눈물 흘림, 안구 건조 등 안구의 자각증상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 분석했다. 연구 결과 스마트폰 하루 사용시간이 길어질수록 안구 자각증상을 호소하는 청소년이 많았다.
하루 2시간 미만 사용자보다 2시간 이상 사용하는 청소년은 7개 증상 중 3~4개 증상을 가질 가능성이 약 1.7배, 5개 이상 증상을 가질 가능성이 약 2.2배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하루 3시간씩 스마트폰을 1년 동안 사용한 청소년에 비해 하루 3시간씩 4년 넘게 사용한 청소년은 5개 이상 증상을 가질 가능성이 약 3.1배 더 높았다.
박수경 교수는 “스마트폰은 눈에서 가깝게 봐야 하고, 모니터로 인한 눈부심이 심하므로 동공 근육이 긴장해 눈 건강에 좋지 않다”며 “눈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하루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2시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서울대병원 박수경(예방의학)·유형곤(안과) 교수팀은 서울, 부산, 시흥에 사는 중·고등학생 7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안과 역학지’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청소년의 장시간 스마트폰 사용이 시야 흐림, 충혈, 시야 장애, 분비물, 염증, 눈물 흘림, 안구 건조 등 안구의 자각증상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 분석했다. 연구 결과 스마트폰 하루 사용시간이 길어질수록 안구 자각증상을 호소하는 청소년이 많았다.
하루 2시간 미만 사용자보다 2시간 이상 사용하는 청소년은 7개 증상 중 3~4개 증상을 가질 가능성이 약 1.7배, 5개 이상 증상을 가질 가능성이 약 2.2배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하루 3시간씩 스마트폰을 1년 동안 사용한 청소년에 비해 하루 3시간씩 4년 넘게 사용한 청소년은 5개 이상 증상을 가질 가능성이 약 3.1배 더 높았다.
박수경 교수는 “스마트폰은 눈에서 가깝게 봐야 하고, 모니터로 인한 눈부심이 심하므로 동공 근육이 긴장해 눈 건강에 좋지 않다”며 “눈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하루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2시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