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경증이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목이 한쪽으로 돌아가고 통증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신생아에게서 나타나는 선천성 근성사경(筋性斜頸)은 목 양쪽 근육이 비대칭이어서 목을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출산할 때 흉쇄유돌근(목의 옆쪽에 있는 목빗근)이 손상돼 발생한다.
사경이 있는 아기는 바로 눕혔을 때 머리가 한쪽으로 기울고, 고개를 좌우로 돌릴 때 불편해한다.
아기에게 젖을 먹일 때 한쪽 유방의 젖만 먹으려 하면 사경을 의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쪽 목에 통증이 있으면 오른쪽 유방의 젖만 먹으려 하는 경향이 있다.
선천성 근성사경의 치료 목적은 근육을 바로잡고 머리와 얼굴, 자세 변형을 예방하는 것이다. 정도가 심하면 얼굴 형태가 변형되거나 고관절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1세 전에 보존적 물리치료를 하면 85.0%가 호전하지만, 보존적 치료에도 1세가 될 때까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면 수술을 해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경은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간단한 마사지나 물리치료만으로 교정할 수 있다. 하지만 아기들은 머리나 목에 손을 대기만 해도 자지러지게 울기 때문에 쉽지는 않다.
한의학에선 영아 사경 치료에 주로 침, 뜸, 부항, 추나요법 등을 사용한다. 침이나 뜸을 놓을 때는 아기의 머리나 목을 돌릴 필요가 없어 아기들도 크게 두려워하진 않는다. 소아용 침을 사용해 순간적으로 침을 놓았다가 빼고, 온도 조절이 가능한 무연전자뜸으로 뜸치료를 하기 때문에 비교적 통증이 덜하며 안전하다.
섬관요법이라는 부항요법은 아기의 근육을 부드럽게 마사지하는 효과가 있다. 얼굴이나 목 부위 근육 이상에 효과적인 완골혈과 두규음, 풍부, 풍지, 철돌 등의 혈자리에 침, 뜸, 부항 치료를 하고 아기의 측두부 근육과 가슴 근육을 마사지한다.
한쪽 목에 통증이 있는 아이가 자꾸 목을 돌리기 편한 쪽의 유방만 찾으면 목을 돌리기 불편한 쪽의 유방으로 먼저 수유하고 어느 정도 배가 불렀을 때 다른 쪽 유방으로 수유한다. 이렇게 하면 운동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
■도움말 신현숙 대한모유수유한의학회 부회장
사경이 있는 아기는 바로 눕혔을 때 머리가 한쪽으로 기울고, 고개를 좌우로 돌릴 때 불편해한다.
아기에게 젖을 먹일 때 한쪽 유방의 젖만 먹으려 하면 사경을 의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쪽 목에 통증이 있으면 오른쪽 유방의 젖만 먹으려 하는 경향이 있다.
선천성 근성사경의 치료 목적은 근육을 바로잡고 머리와 얼굴, 자세 변형을 예방하는 것이다. 정도가 심하면 얼굴 형태가 변형되거나 고관절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1세 전에 보존적 물리치료를 하면 85.0%가 호전하지만, 보존적 치료에도 1세가 될 때까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면 수술을 해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경은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간단한 마사지나 물리치료만으로 교정할 수 있다. 하지만 아기들은 머리나 목에 손을 대기만 해도 자지러지게 울기 때문에 쉽지는 않다.
한의학에선 영아 사경 치료에 주로 침, 뜸, 부항, 추나요법 등을 사용한다. 침이나 뜸을 놓을 때는 아기의 머리나 목을 돌릴 필요가 없어 아기들도 크게 두려워하진 않는다. 소아용 침을 사용해 순간적으로 침을 놓았다가 빼고, 온도 조절이 가능한 무연전자뜸으로 뜸치료를 하기 때문에 비교적 통증이 덜하며 안전하다.
섬관요법이라는 부항요법은 아기의 근육을 부드럽게 마사지하는 효과가 있다. 얼굴이나 목 부위 근육 이상에 효과적인 완골혈과 두규음, 풍부, 풍지, 철돌 등의 혈자리에 침, 뜸, 부항 치료를 하고 아기의 측두부 근육과 가슴 근육을 마사지한다.
한쪽 목에 통증이 있는 아이가 자꾸 목을 돌리기 편한 쪽의 유방만 찾으면 목을 돌리기 불편한 쪽의 유방으로 먼저 수유하고 어느 정도 배가 불렀을 때 다른 쪽 유방으로 수유한다. 이렇게 하면 운동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
■도움말 신현숙 대한모유수유한의학회 부회장
2016-06-2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