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번째 시집 ‘제너레이션’ 출간한 김미령 시인

민음사 제공
김미령 시인.
민음사 제공
민음사 제공
“기억이라는 게 불확실하고 모호하죠. 과거의 한 시점을 떠올리는 것인데, 그리 단편적이지 않아요. 여러 경험이 침범하고 간섭하죠. 그런 중층적인 기억의 성질을 이야기하고 싶었어요.”
세 번째 시집에 이르러 하고자 하는 말이 분명해졌다. 최근 출간된 시인 김미령(50)의 ‘제너레이션’(민음사)은 ‘기억’에 관한 시집이다. 앞선 두 시집 ‘파도의 새로운 양상’과 ‘우리가 동시에 여기 있다는 소문’은 일종의 ‘자기 탐색’이었다. 이제는 뚜렷한 방향을 가지게 됐단다. 2005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해 올해로 20년 차를 맞은 중견 시인이다. 14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민음사 사옥에서 그를 만났다.
“자기 탐색은 ‘자기혐오’에서 시작하죠. 누구에게나 그런 기질이 조금씩 있잖아요. 그렇게 정체성을 찾는 거죠. ‘나’에게서 벗어나려는 의도도 있었어요. 나를 지우려는 강박이 있었는데, 거기서 자유로워지니 ‘내가 쓰고 싶은 문학’이 무엇인지 보였던 것 같아요.”

20년간 세 권의 시집. 문단에 정해진 규칙이 있는 건 아니지만 과작(寡作)인 것은 분명하다. 등단 후 첫 시집이 나오기까지 12년이 걸렸다. 2017년, 2021년 그리고 2025년, 꼭 4년마다 한 권의 시집을 엮는다. 시인은 “자기가 바라보는 세계관을 비롯해 시인의 ‘몸’이 바뀌는 시간이 필요한데, 그것에 최소 3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제너레이션’. 한국어로는 ‘세대’라고 번역된다. 하지만 ‘세대’라는 말 안에도 다양한 의미가 있다. ‘젊은 세대’, ‘한 세대 전의 이야기’, ‘3세대 컴퓨터’. 모두 ‘제너레이션’이라는 말로 포괄할 수 있다. ‘제너레이션’이라는 시는 시집에 총 네 번 등장한다. 다른 시가 그렇듯 역시 기억에 관한 이야기다. “이건 이제부터 새로 시작되는 이야기지만 낯익은 이야기이고/그도 모르게 그에게 전해지던 유구한 슬픔이자/언제나 닿고 싶었지만 끝내 이르지 못한 그 자신 안의 흐릿한 풍경인지도 모른다고”(‘제너레이션’ 부분·15쪽) 그래서 기억이란 무엇인가. 왜 우리에게 기억이 필요한가.
“기억은 결국 내 기억과 공동체의 기억이 이어져 있다는 연결감으로도 확장할 수 있는 것 같아요. 내 이전 세대에서 전해져 내 이후 세대로 흐르는 것이기도 하죠. 기억은 철학과 문학의 오랜 관심거리였는데요. 가상현실이 범람하는 가운데서도 자기 그리고 공동체의 뿌리에 대한 기억은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근본이라고 생각합니다.”
2025-07-1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