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진
오경진 기자
안녕하세요. 서울신문 오경진 기자입니다.
주간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불만 혹은 불안… 체코·프랑스 어디도 속하지 못했던 이방인의 기록

    불만 혹은 불안… 체코·프랑스 어디도 속하지 못했던 이방인의 기록

    대가의 까탈스러운 면모가 유감없이 드러난다. 작품이 거의 모든 서구 언어로 번역됐지만, 번역이 마음에 들지 않았던 작가는 “나만큼 번역 문제로 몸살을 앓는 작가도 없다”고 투정한다. 그것은 왜인지 불만보다는 ‘불안’으로 읽힌다. 조국인 체코에서도, 망명지인 프랑스에서도 이방인이었던 소설가 밀란 쿤데라(1929~2
  • 국무회의 배석 제외된 이진숙 “아쉽다…임기는 내년까지”

    국무회의 배석 제외된 이진숙 “아쉽다…임기는 내년까지”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국무회의에 배석하지 못하게 된 것에 대해 “아쉽게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임기는 내년까지”라고 하며 여권에서 제기되는 사퇴 요구에는 응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이 위원장은 9일 경기 정부과천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런 입장을 전했다.이 위원장은 “방통위 상임위원 5인 완전체가
  • 詩처럼 반짝, 삶의 끝에서 사랑한 ‘봄밤’

    詩처럼 반짝, 삶의 끝에서 사랑한 ‘봄밤’

    침묵은 길고 절규는 고통스럽다. 하지만 그사이 아주 짧은 사랑이 시(詩)처럼 반짝인다. 죽음을 앞두고 갈 길을 잃은 두 영혼에 그만한 위로는 없을 것이다.9일 개봉하는 강미자 감독의 ‘봄밤’은 한 편의 시처럼 읽히는 영화다. 동인문학상을 받은 권여선의 소설집 ‘안녕 주정뱅이’에 실린 동명의 단편이 원작이다. 이
  • “도스토옙스키가 말한 건 사랑과 연민”

    “도스토옙스키가 말한 건 사랑과 연민”

    한국서 처음… 영미권서도 드물어‘카라마조프가…’는 고해성사 같아너무 울어 눈 나빠져 안과 가기도“도스토옙스키가 말하고자 했던 핵심은 바로 사랑과 연민입니다. 타자를 향한 공감 능력을 잃어 가는 오늘날 세계에도 의미 있는 메시지죠.”‘죄와 벌’, ‘백치’, ‘악령’ 그리고 마지막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까지. 러시
  • 몸 없는 세계, 쩍쩍 마른 공기… 멸망의 끝이 있긴 할까

    몸 없는 세계, 쩍쩍 마른 공기… 멸망의 끝이 있긴 할까

    디스토피아 다룬 SF 소설 잇따라백사혜 ‘그들이…’ 서윤빈 ‘종말이…’욕망의 노예 된 지구 밖 인간이든기후 재앙 닥친 현실적 절망이든‘희망을 찾을 수 있는가’ 고민 담겨우리의 ‘몸’으로 말미암아 세계는 점점 디스토피아로 변모한다. 그 자체로 순수하고 합리적인 정신을 가진 인간. 그러나 육신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
  • 베르나르 베르베르, 임윤찬… ‘핫’한 클래식이 온다

    베르나르 베르베르, 임윤찬… ‘핫’한 클래식이 온다

    성큼 다가온 한여름 밤을 물들일 ‘특별한’ 클래식 공연들이 잇따라 찾아온다.다음달 22일부터 9월 5일까지 열리는 ‘힉엣눙크! 뮤직 페스티벌’은 올해로 8회째를 맞는 대표적인 여름 클래식 축제다. 라틴어인 ‘힉엣눙크’(Hic et Nunc)는 영어의 ‘히어 앤 나우’(Here and Now)로 ‘지금 여기’라는
  • “맨발로 연주할 때 가장 ‘나’다워… 음악은 다름을 포용하는 공간”

    “맨발로 연주할 때 가장 ‘나’다워… 음악은 다름을 포용하는 공간”

    “맨발로 연주하게 된 건 우연이었어요. 20대 초반이었는데 오래된 악기로 연주해야 했었죠. 하이힐을 신고 있었는데 무릎이 건반 아래로 들어가지 않더라고요. 그냥 맨발로 연주했는데 그게 가장 편하고 자연스럽다는 걸 깨달았어요. 규칙을 깨려는 것보다는 그게 제게 가장 자연스러운 상태이기에 하는 것일 뿐이죠.”일본계
  • 시는 외계인의 꿈… 사랑의 능력을 끝까지 믿어봐요

    시는 외계인의 꿈… 사랑의 능력을 끝까지 믿어봐요

    ‘시(詩)는 외계인이 꾸는 꿈이다.’얼마 전 시집 ‘나 외계인이 될지도 몰라’(문학동네)를 엮은 신이인(31) 시인을 만나 시와 문학에 관해 한참을 떠든 뒤 내린 결론이다. 저 아리송한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두 가지 질문이 해명돼야 한다. 꿈은 무엇인가 그리고 외계인은 누구인가.“이 세계와 내가 피차 낯
  • 모두가 평등할 순 없는 세상, 그래도 ‘안녕’한지 묻는다

    모두가 평등할 순 없는 세상, 그래도 ‘안녕’한지 묻는다

    코로나19·명품·부동산·전세사기…‘돈과 이웃’의 문제 담담하게 해부‘젊은 거장’ 김애란의 첨예한 시선차가운 시대 사는 우리 표정 살펴한 사회의 완전한 경제적 평등이 불가능하다는 건 역사로 입증됐다. 차가운 신자유주의 시대에 사는 우리에게 ‘다 같이 잘살자’는 말은 허황하게 들린다. 모두 노력한 만큼 벌고 노력한
  • “지메르만, 맑은 물과 같은 연주할 것”

    “지메르만, 맑은 물과 같은 연주할 것”

    26일 인천·27~28일 서울서 공연최고 피아니스트 지메르만 협연“이번 내한 공연은 마치 ‘가족여행’인 것 같아요. 오래된 친구들과 함께하기 때문입니다.”11년 만의 뉴욕필하모닉오케스트라 내한 공연을 이끄는 세계적인 지휘자 에사페카 살로넨은 25일 서울 서초구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1986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