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영국 미니 국가 ‘리틀 잉글랜드’로 가나

<브렉시트> 영국 미니 국가 ‘리틀 잉글랜드’로 가나

입력 2016-06-24 14:28
수정 2016-06-24 14: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코틀랜드 독립 재추진 시동…북아일랜드·웨일스로 독립 움직임

유럽연합(EU) 탈퇴를 선택한 영국이 새로운 여정에 첫발을 내디뎠다. 그 길의 이정표에 ‘리틀 잉글랜드’(Little Englnd)가 흐릿하게 새겨져 있다.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 등의 분리로 이어져 영국이 미니 국가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잉글랜드는 영국 전체 면적의 53%에 불과하다.

영국은 잉글랜드, 웨일스,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등 4개 지역으로 구성된 연방국이다. 웨일스(1535년)와 스코틀랜드(1707년)가 잉글랜드에 통합됐고, 식민지였던 아일랜드에서 북부 얼스터 지방(1921년)이 남아 오늘의 영국이 완성됐다.

브렉시트는 영국(UK)에서 분리 움직임을 촉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307년간 끊임없이 독립을 열망해온 스코틀랜드는 이미 그 꿈을 펼치려 했다.

2014년 9월 독립 주민투표를 치렀다. 반대 55%, 찬성 45%로 부결됐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가 자치권 확대를 약속하며 가까스로 막았다.

그러나 토속어 게일어를 비롯해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는 스코틀랜드인들은 독립을 향한 의지를 접지 않고 있다. 영화 ‘브레이브 하트’의 실제 주인공 윌리엄 월리스의 저항 정신이 스코틀랜드인들의 가슴 속에 아직도 살아있다.

이에 브레시트 투표를 독립 추진의 불씨를 살릴 기회로 삼으려는 스코틀랜드 의회 제1당 스코틀랜드국민당(SNP)은 지난달 스코틀랜드 의회선거를 앞두고 ‘조건부’ 독립 재투표를 공약했다.

“2014년 상황에서 중대한 변화, 예컨대 우리의 의지와 반대로 EU에서 떠나게 된다면 스코틀랜드 의회는 제2의 독립 주민투표를 실시할 권리가 있다”고 적시했다.

스코틀랜드에선 EU 잔류가 우위로 나왔는데도 전체 결과는 EU 탈퇴로 나오는 것을 독립 재투표 명분으로 삼은 것이다.

독립 재투표 불씨를 지핀 SNP는 선거에서 제1당 유지에 성공했고, ‘조건’도 충족됐다.

막판 여론조사들에서 스코클랜드 주민 절반은 잔류를 지지했다. 잔류가 탈퇴를 크게 앞섰다.

다만 브렉시트 이후에도 독립 주민투표를 해야 한다는 의견은 팽팽하다.

그러나 스코틀랜드는 영국 내에서 EU 회원국 지위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은 곳이다. 여기에 브렉시트로 영국 경제가 침체하거나 EU와 협상 조건이 악화하면 EU 복귀를 위해 독립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질 수 있다. ‘EU를 떠난 영국’으로부터 독립해야 할 명분이 추가된 것이다.

니콜라 스터전 자치정부 수반 겸 SNP 대표는 투표를 앞두고 독립을 바라는 마음으로 탈퇴를 선택하면 안 된다는 우려를 표명할 정도였다.

EU 잔류 호소를 위해 ‘과장된’ 측면도 있겠지만 캐머런 총리와 토니 블레어, 존 메이저 등 전직 총리들도 ‘리틀 잉글랜드’ 우려를 표명했다.

스코틀랜드의 독립이 현실화하면 북아일랜드나 웨일스 주민들의 불만이 커지면서 또 다른 독립운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마틴 맥기니스 북아일랜드 자치정부 부수반도 지난 3월 EU 탈퇴시 북아일랜드의 아일랜드 통합을 묻는 주민투표가 불가피하다고 말한 바 있다.

맥기니스 부수반은 “EU 탈퇴는 아일랜드 섬 전체에 지대한 의미”라며 “아일랜드인들의 민주적 소망들과 역행하는 것일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EU 회원국 아일랜드와 영국의 북아일랜드는 국경 통제 없이 사람과 상품이 자유롭게 이동한다. 아울러 북아일랜드 역시 EU로부터 많은 보조금을 받고 있다.

하지만 브렉시트로 아일랜드~북아일랜드 국경은 EU의 외부 국경이 된다. 브렉시트에 찬성한 이들이 가장 원했던 ‘국경 통제’ 전선이 되는 것이다. 아일랜드와의 자유로운 교류 중단은 북아일랜드 주민들을 동요시킬 가능성이 크다.

수백년에 걸친 통합의 역사를 되돌리는 건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걸친 격변을 뜻한다. 영국이 격랑 속으로 빠져들 수 있다는 얘기다.

워싱턴포스트는 캐머런을 ‘리틀 잉글랜드’의 창시자가 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가래여울변 한강 산책로 조성 이어 자연친화 쉼터 조성 본격화

‘강동엄마’ 박춘선 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인 지난 21일 미래한강본부 담당자들과 함께 강동구 가래여울 한강변을 찾았다. 이번 방문은 지난 산책로 조성 이후 변모된 현장을 살피는 차원에서 진행됐다. 가래여울 한강변은 상수원보호구역이자 생태경관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상당 기간 방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박 의원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주민들이 산책하고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탈바꿈해 나가는 중이다. 이날 박 의원은 현장점검에서 새로 교체된 막구조 파고라와 산책로 주변 수목 정비 및 6월 1차 풀베기와 가지치기 작업 상황을 살펴보고, 이어서 7월 중 실시될 2차 풀베기 일정까지 꼼꼼히 챙겨봤다. 박 의원은 관계자들과 함께 장마로 훼손된 잔디와 생태교란식물 제거, 편의시설 보강 등 세부적인 관리 개선책을 논의하며 가래여울 한강변을 “방치된 공간에서 시민들이 사랑하는 쉼터로 만드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적극 행정을 펼칠 것을 주문했다. 이날 현장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두 가지 사업을 집중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올해 7월부터 9월까지는 간이 피크닉장을 조성하여 ▲평의자 4~5개와 안내표지판을 설치하고 ▲토사 유출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가래여울변 한강 산책로 조성 이어 자연친화 쉼터 조성 본격화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