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이후 각국 중앙은행들의 대대적인 돈 풀기에 나섰지만 경기침체에 빠지는 나라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28일 블룸버그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 3분기말 기준으로 올들어 경기침체에 새롭게 빠지거나 침체 상태를 지속한 나라는 6개국으로 주요 57개국 가운데 10%에 달했다.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전분기 대비로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내면 경기침체로 분류한다.
캐나다, 룩셈부르크, 브라질, 에콰도르, 러시아 등 5개국은 새롭게 경기침체에 빠졌다. 우크라이나는 2년째 경기침체 상태를 지속하고 있다.
4분기에는 경기침체 국가들이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5개국이 3분기에 마이너스 성장세에 새로 진입했기 때문이다.
해당 나라는 일본, 싱가포르, 대만, 칠레, 남아프리카공화국이다. 이들 나라는 1개 분기만 더 마이너스 성장을 하면 경기침체에 해당된다.
3분기 제로(0) 성장을 기록한 나라도 프랑스, 노르웨이, 루마니아 등 3개국이나 된다는 점에서 내년 전망도 밝지 않다.
투자은행 JP모건과 바클레이즈에 따르면 내년 경기침체에 추가로 빠질 국가로 지속적인 경제난에 시달리는 아르헨티나가 꼽혔다.
아르헨티나는 정권 교체 이후 환율 통제 해제로 페소화 가치가 크게 떨어졌으며 추가 하락에 대한 우려가 큰 상황이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전 세계 올해 GDP 성장률 예상치는 3.1%로 작년의 3.4%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선진국은 올해 1.8%에서 내년 2.0%로 올라갈 것으로 전망되지만 신흥시장 및 개발도상국이 4.6%에서 4.0%로 둔화하고, 이 중에서도 남아메리카 지역의 국가들이 1.3%에서 -0.3%로 추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둔화하고, 유가가 올해 46% 이상 하락하는 등 원자재 가격이 크게 떨어져 관련국들의 부진이 심화했기 때문이다.
거의 10년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한 미국은 내년에도 경기 회복세를 지속할 전망이지만 성장세는 올해 2.6%, 내년 2.8%에 그쳐 크게 올라가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미국이 다시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씨티리서치는 12월 보고서에서 미국이 내년 새로운 침체에 진입할 가능성이 65%에 달한다고 말했다.
JP모건은 이달 보고서에서 미국이 중기적으로 침체에 빠질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28일 블룸버그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 3분기말 기준으로 올들어 경기침체에 새롭게 빠지거나 침체 상태를 지속한 나라는 6개국으로 주요 57개국 가운데 10%에 달했다.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전분기 대비로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내면 경기침체로 분류한다.
캐나다, 룩셈부르크, 브라질, 에콰도르, 러시아 등 5개국은 새롭게 경기침체에 빠졌다. 우크라이나는 2년째 경기침체 상태를 지속하고 있다.
4분기에는 경기침체 국가들이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5개국이 3분기에 마이너스 성장세에 새로 진입했기 때문이다.
해당 나라는 일본, 싱가포르, 대만, 칠레, 남아프리카공화국이다. 이들 나라는 1개 분기만 더 마이너스 성장을 하면 경기침체에 해당된다.
3분기 제로(0) 성장을 기록한 나라도 프랑스, 노르웨이, 루마니아 등 3개국이나 된다는 점에서 내년 전망도 밝지 않다.
투자은행 JP모건과 바클레이즈에 따르면 내년 경기침체에 추가로 빠질 국가로 지속적인 경제난에 시달리는 아르헨티나가 꼽혔다.
아르헨티나는 정권 교체 이후 환율 통제 해제로 페소화 가치가 크게 떨어졌으며 추가 하락에 대한 우려가 큰 상황이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전 세계 올해 GDP 성장률 예상치는 3.1%로 작년의 3.4%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선진국은 올해 1.8%에서 내년 2.0%로 올라갈 것으로 전망되지만 신흥시장 및 개발도상국이 4.6%에서 4.0%로 둔화하고, 이 중에서도 남아메리카 지역의 국가들이 1.3%에서 -0.3%로 추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둔화하고, 유가가 올해 46% 이상 하락하는 등 원자재 가격이 크게 떨어져 관련국들의 부진이 심화했기 때문이다.
거의 10년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한 미국은 내년에도 경기 회복세를 지속할 전망이지만 성장세는 올해 2.6%, 내년 2.8%에 그쳐 크게 올라가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미국이 다시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씨티리서치는 12월 보고서에서 미국이 내년 새로운 침체에 진입할 가능성이 65%에 달한다고 말했다.
JP모건은 이달 보고서에서 미국이 중기적으로 침체에 빠질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