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내국인 고용 2만 1000명 감소
고용보험 가입자 수 1000명 줄어
건설업은 23개월째 감소 더 악화
구직 11.9% 늘고 구인 11.2% 뚝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가 4년 6개월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그동안 외국인 채용 증가로 가까스로 균형을 유지했지만, 내국인 고용 급감에 결국 마이너스 전환한 것이다. 특히 건설업은 23개월 연속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줄었다.
고용노동부가 14일 발표한 ‘6월 고용행정 통계’를 보면, 지난달 제조업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384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1000명 줄었다. 제조업 가입자 감소는 2020년 12월 이후 처음이다.
그동안 제조업은 외국인 근로자를 버팀목 삼아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세를 유지해 왔다. 2023년 10월부터 내국인 가입자는 줄었지만, 고용허가제로 입국한 외국인 증가로 전체 수치는 상승세였다.
하지만 지난달 내국인 가입자 감소 폭이 커지면서 전체 가입자 수도 감소했다. 외국인 가입자는 2만명 늘었지만, 내국인은 2만 1000명 줄었다. 올 1~5월까지만 해도 1만명대이던 내국인 감소 폭이 두 배나 커진 것이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내수 부진과 경기 침체로 고용 축소 압박이 커지면서 인건비가 더 높은 내국인 채용을 줄인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천경기 고용부 미래고용분석과장도 “제조업 구인 인원이 감소하고 있으며, 정년퇴직 등 자연 감소분에 대해서도 인력 충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건설업 고용 상황은 더 악화하고 있다.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는 1만 9000명 줄어든 75만 2000명으로, 23개월 연속 감소했다. 전체 산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전년 대비 1.2% 증가했지만, 업종별로 들여다보면 고용 시장 불안정성이 뚜렷하다.
구인·구직 불균형도 심화하고 있다. 지난달 고용24에 등록된 신규 구직자는 38만 7000명으로 전년보다 4만 1000명(11.9%) 늘었지만, 기업의 신규 구인은 15만 1000명으로 1만 9000명(11.2%) 줄었다. 일자리를 찾는 사람은 늘었지만, 채용 수요는 되레 감소한 셈이다.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를 뜻하는 구인 배수는 0.39로 전년 동월보다 10포인트 감소했다.
2025-07-1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