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디지털시티서 본 신개념 TV ‘더 월’
마이크로LED 모듈을 블록처럼 연결모양·크기 제한 없어… 코드 문제 개선
2018년형 더 프레임도 새달 국내 출시
시청 안 할 때는 명화 ‘아트모드’ 강화

삼성전자 2018년형 ‘더 프레임’(The Frame) TV. 삼성전자 제공
한종희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이 지난 20일 경기 수원에 있는 삼성디지털시티에서 말한 ‘TV의 미래’다. 그는 앞으로 “TV는 생활과 밀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될 것)”이라면서 “개인이 하나씩 갖고,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소비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사장은 “그러려면 TV의 위치가 자유로워야 하지만 아직까지 전원 코드 가까이에 있어야 한다는 ‘페인포인트’(고충점)가 있다”면서 다음달 말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멀티미디어 박람회 IFA에서 수많은 페인포인트를 개선한 TV를 보여주겠다고 예고했다.
이날 삼성전자는 디지털시티에 언론을 초청했다. ‘더 이상 TV가 아닌 TV’에 한발 다가간 제품과 기술을 소개하기 위한 자리다.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기술이 적용된 대형 디스플레이 ‘더 월’(The Wall), 시청하지 않을 때에 TV를 액자나 다용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쓸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QLED TV ‘더 프레임’(The Frame)이 이에 해당한다.
더 월은 마이크로미터(㎛) 단위 마이크로LED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블록처럼 연결해서 만들기 때문에 화면 크기와 모양에 사실상 제한이 없다. 16:9의 고정된 직사각형 모양으로 거실 한가운데를 차지하는 게 아니라 불규칙한 형태로 만들거나 아예 벽면 전체를 화면으로 덮을 수도 있다.
이날 마이크로LED 설명을 맡은 유호선 생산기술연구소 상무는 “더 월은 호텔, 매장, 경기장, 박물관, 전시관 등에 머무르지 않고 가정에서도 쓸 수 있는 대형 디스플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대형 디스플레이가 집 안으로 들어가게 되면 발광 소자 하나하나가 훨씬 작아지고 촘촘해져야 한다. 보는 사람과 거리가 매우 가깝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더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플립칩’ 방식으로 만들어 이런 차이를 극복했다. 유 상무는 “이 기술 덕분에 광효율이 크고 시야각이 넓어지며 눈 피로도가 훨씬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이날 디지털시티의 핵심 건물인 디지털연구소 2층 쇼룸에서 130인치 디지털사이니지와 75인치 더 월 제품을 실제로 볼 수 있었다. 더 월은 사이니지처럼 테두리(베젤) 없는 디스플레이 자체의 형태로 벽에 부착돼 있었지만 화소의 크기가 큰 사이니지와 달리 QLED TV처럼 화면 해상도가 매우 높았다.
삼성전자는 이날 기존제품 대비 사용성을 대폭 개선한 2018년형 더 프레임도 공개했다. 이달 초 미국·유럽 등에 판매를 시작했으며 한국 시장엔 다음달 중순쯤 나온다.
특히 TV를 보지 않는 시간에 명화를 담은 액자 역할을 하는 ‘아트모드’가 강화됐다. 이날 제품을 설명한 신상품기획팀 정광일 프로는 “더 프레임은 단순한 TV가 아니라 예술 유통 플랫폼으로서 기능을 할 것”이라면서 “동영상 유통 플랫폼으로 유튜브가 있다면 삼성 아트스토어는 아트 유통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 아트스토어엔 뉴욕 타임스 아카이브, 영국 빅토리아 앤 알버트 뮤지엄, 프랑스 사진 전문 갤러리 옐로코너 등의 작품이 추가돼 총 800여개의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8-07-2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