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러운 두산의 감독 경질에 김성근(71) 고양 원더스 감독과 김인식(66) 한국야구위원회 기술위원장도 놀랐다.
김성근 감독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성근 감독
두산 사령탑을 맡았던 두 원로 야구인은 김진욱(53) 전 두산 감독의 경질을 ‘야구단 내 힘의 균형이 프런트 쪽으로 기우는 현상’으로 판단했다.
김성근 감독은 27일 “올해는 감독 교체 없이 넘어가나 했는데 결국 한 명이 옷을 벗었다. 안타깝다”고 말한 뒤 “최근 야구단에서는 현장보다 프런트의 생각을 더 중시하는 것 같다. 이번 사건도 그렇다”라고 논했다.
김인식 위원장도 “자세한 내막을 몰라 얘기하기 껄끄러운 부분이 있다”고 조심스러워하면서도 “준우승을 한 감독을 이렇게 급하게 내보내는 건 당황스러운 일이다. 힘의 균형이 현장보다 프런트 쪽으로 기우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국민 감독’ 김인식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국민 감독’ 김인식
김성근 감독은 1984년 두산 전신인 OB 사령탑에 올라 1988년까지 다섯 시즌 동안 네 차례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김인식 위원장은 1995년 OB 지휘봉을 잡아 2003년까지 아홉 시즌을 소화하며 두 차례 한국시리즈 우승(1995년·2001년)을 일궈냈다.
두 야구인은 “당시와 지금은 분위기가 다르다. 현장의 입지가 좁아지는 느낌이다”라고 같은 의견을 냈다.
상당수의 전문가들이 김진욱 감독의 경질을 ‘프런트 야구의 강화’로 분석하고 있다.
두산은 2011년 정규시즌 종료 뒤 김진욱 감독을 새 사령탑으로 선임했다.
이어 이토 쓰토무(51) 현 지바 롯데 감독을 수석코치로 임명했다.
일본 프로야구에서도 감독 후보로 꼽히던 이토 코치의 영입은 김진욱 전 감독에게 껄끄러운 부분이었다.
김승영 두산 사장과 김태룡 단장은 2011년 8월 취임하며 “강한 프런트 야구를 하겠다”고 밝혔다.
1991년부터 두산 프런트로 일해 온 김승영 사장과 야구인 출신의 김태룡 단장은 수차례 ‘장기적으로 팀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강한 프런트가 필요하다’는 철학을 드러냈다.
’현장 책임자인 감독의 권한을 축소한다’로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다.
2013년 시즌 종료 뒤 두산은 이종욱·손시헌·최준석 등 팀 내 자유계약선수(FA)의 잔류에 적극적이지 않았고, 지난해 두산 4번타자로 뛰던 윤석민을 넥센으로 보내는 등 대대적인 선수단 재구성에 돌입했다.
프런트의 판단이 선수단 구성을 결정하는 잣대가 됐다.
현장의 목소리는 약해졌다.
김성근 감독은 “장기적으로 팀을 키우기 위해 프런트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좋은 지도자를 영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감독에게 시간을 줘야 한다”고 말하면서도 “감독들도 준비를 철저히 해서 ‘비전’을 보여줘야 한다. 확실한 시나리오가 있어야 현장을 강화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