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강 고대구로병원 정신의학과 교수
노인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노인성 질환 발병도 늘고 있다.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치매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 10명 중 1명이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약 65만명이었던 치매 환자 수는 2024년 100만명, 2041년 2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26일 정현강 고대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치매의 증상과 치료에 대해 알아봤다.
정현강 고대구로병원 정신의학과 교수
A. 치매는 인지기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 능력에 장애가 생기는 병으로 퇴행성 뇌질환, 뇌혈관 질환, 대사성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깁니다.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으로, 전체 치매 환자의 60~70%를 차지합니다.
Q. 증상은 어떻게 나타나나.
A. 처음에는 최근 대화 내용이나 약을 먹은 사실을 잊어버리는 등 기억력 저하를 호소합니다. 병이 진행하면서 시공간능력과 집행능력, 판단능력, 언어능력과 같은 다른 인지기능 손상이 동반돼 방향감각을 잃고 길을 헤매거나 복잡한 절차의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게 됩니다.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들은 단순한 노화성 건망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오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는 잊고 있었던 사건에 대해 힌트를 줘도 잘 기억하지 못하지만, 노화성 건망증을 보이는 노인은 힌트를 주면 잘 기억해 내는 차이가 있습니다. 병이 진행하면 오래전 일까지 기억하기 힘들어하고 말기에 이르면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기억조차 사라질 수 있습니다.
Q. 치료의 관건은.
A. 알츠하이머 치매는 스스로 옷을 입거나 수저를 이용해 식사를 하는 기본적인 활동도 어렵기 때문에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가족의 부담이 무척 큽니다. 그래서 초기에 진단해 병의 진행을 최대한 늦추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치매 증상은 대부분 노년기에 나타나지만, 병을 일으키는 뇌의 단백 침착은 증상 발현 훨씬 이전인 중년기에 시작됩니다. 아밀로이드 뇌영상 검사와 같은 진단 검사를 이용하면 병을 비교적 초기에 진단할 수 있습니다.
Q. 예방법은.
A. 뇌는 쓰면 쓸수록 예비 능력이 커집니다. 퇴행성 뇌질환에 의한 신경 손상이 시작돼도 예비 능력이 크다면 일정 부분 보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지적 수행 활동인 어학·한자 학습 같은 공부, 악기 연주, 바둑, 보드 게임은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또 오메가 지방산이 풍부한 녹황색 채소, 등 푸른 생선, 견과류 섭취를 늘리고 운동을 하거나 술, 담배를 멀리하는 것도 바람직한 행동입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6-27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