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물자원관은 제주 바닷속에서 세계적으로 한 번도 발견되지 않은 신종 3종(새우류·참갯지렁이류·바다거미류 각각 1종)과 국내 미기록종 3종(새우류 2종·흡구충류 1종)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5~9월까지 서울대 김원 교수팀과 공동으로 세 차례에 걸쳐 제주 서귀포 문섬과 범섬 연안 수심 100m까지 이뤄졌다. 이곳에선 산호류 등이 넓게 분포하는 서식지가 발견됐다. 범섬과 문섬 사이 수심 30m에서 채집한 바다나리류에서는 새우류 신종 ‘크리스티메네스류’와 흡구충류 미기록종인 ‘미조스토마류’가 확인됐다. 문섬 수심 45~60m의 산호 서식지에서 새우류 미기록종(2종)이, 수심 45~60m 수중 암반에서는 참갯지렁이류 신종(콤포세티아류), 바다거미류 신종(피크노고넘류)이 발견됐다.
연구진은 새우류(3종)와 흡구충류가 회초리산호류와 바다나리류에 공생하는 사실을 주목했다. 이들은 소형 무척추동물의 미소 서식지 역할을 하는데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공생하는 종 간의 관계를 밝히는 생태연구를 추가로 진행할 계획이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8-09-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