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관리실처럼 빌라촌 밀착 관리... 도봉 ‘우리동네 관리소’

아파트 관리실처럼 빌라촌 밀착 관리... 도봉 ‘우리동네 관리소’

강신 기자
강신 기자
입력 2025-02-21 15:18
수정 2025-02-21 15: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달 방학1동 시범 운영 후 점진 확대

이미지 확대
서울 도봉구 ‘우리동네 관리소’ 관리인들이 청소를 하고 있다. 도봉구 제공
서울 도봉구 ‘우리동네 관리소’ 관리인들이 청소를 하고 있다. 도봉구 제공


서울 도봉구가 이달부터 ‘우리동네 관리소’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고 21일 밝혔다.

우리동네 관리소는 저층주거지 밀집 지역 주민들에게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봉구가 마련한 시설이다. 빌라 등 저층 주거지 밀집 지역은 관리인이 없어 골목 청소 등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동네 관리소는 환경 정비, 안전 순찰, 주차 계도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무원 1명과 관리인 4명이 근무한다. 사무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사무실에 상주하며 민원을 접수한다. 관리인 4명은 오전, 오후 두 명씩 두 그룹으로 나눠 현장 민원업무를 한다.

시범 운영 대상지는 방학1동 일대 다세대주택 밀집 지역이다. 주택 노후도 등 사업의 효과성을 고려해 선정했다.

도봉구는 이달부터 우리동네 관리소를 시범적으로 운영하면서 정기적으로 만족도 조사 등을 실시해 주민 의견을 듣고 사업을 보완할 계획이다. 어느 정도 관리소가 지역에 정착되면, 이후 점진적으로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오언석 도봉구청장은 “우리동네 관리소가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관리모델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도 주민들이 지역에서 살아가면서 불편함이 없도록 관련한 사업 마련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