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 등록 할머니 27명으로 줄어

고 하점연 할머니.
나눔의 집에 따르면 하점연 할머니는 경상남도 하동 출신으로 1922년 태어났다. 15살되던 1936년 봄에 일본 오사카에 사는 언니네 아이들을 돌봐주러 갔다가 이웃 한국인 아줌마가 데려다준다고 해서 따라 나간 곳이 한 공장이었다고 한다.
이후 할머니는 대만,하이난섬,홍콩,중국,광둥,인도네시아 수마트라 등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겪었다.
해방 이듬해인 1946년 4월 부산으로 귀국해 서울 강서구에서 살다가 2016년 5월부터 나눔의 집에서 생활을 해왔다.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다. 빈소는 서울 강서구 공항동 중앙장례식장에 마련된다.
진선미 여성가족부장관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하점연 할머니의 사망에 깊은 애도의 뜻을 전했다. 진 장관은 “올 들어 벌써 여섯 분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님들을 떠나보내게 되어 비통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라며 “여성가족부는 하점연 할머니를 포함한 모든 피해자분들의 명예·존엄 회복을 위해 ‘피해자 중심주의’에 입각한 정책 추진에 더욱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하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40명 가운데 생존자는 27명으로 줄었다.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