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오면 성인 3% 우울 증세…일조량 감소 원인

가을 오면 성인 3% 우울 증세…일조량 감소 원인

김태이 기자
입력 2018-10-20 10:33
수정 2018-10-20 10: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바나나·치즈·달걀흰자 충분히 먹으면 예방 도움

“가을을 타는 것 아니냐”는 질문을 받거나 ‘낙엽처럼 사라지고 싶다’는 생각이 들면 한 번쯤 우울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이미지 확대
10월의 중순을 향해가는 10일 강원 평창군 오대산 선재길 나무들이 붉은색 가을 옷을 갈아입고 있다.2018.10.10 뉴스1
10월의 중순을 향해가는 10일 강원 평창군 오대산 선재길 나무들이 붉은색 가을 옷을 갈아입고 있다.2018.10.10
뉴스1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이승엽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20일 “성인의 3%가 계절성 우울성을 겪는다”며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일조량 감소에 따른 신경전달물질의 증감에 따른 증세로 설명되기도 한다”고 밝혔다.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은 우울증 발병과 연관이 있다.

일조량이 줄면 세로토닌이 감소한다. 항우울제들은 이 물질을 뇌에서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세로토닌이 줄면 음식 섭취 조절력도 약해지는데 이때 탄수화물 섭취 증가로 체중이 늘 수 있다. 가을을 ‘천고마비’의 계절로 부르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세로토닌이 감소하면 뇌에서 역시 신경전달물질인 ‘멜라토닌’ 분비가 증가하는데 이때 생체리듬과 수면·활동 주기 등의 부조화가 발생하기도 한다.

낮인데도 생체리듬이 밤에 맞춰져 있어 주간 졸림증과 피로가 나타난다.

이 같은 계절성 우울증을 예방하려면 세로토닌을 만드는 ‘트립토판’이 필요하다.

트립토판은 우리 몸이 스스로 만들지 못하는 필수 아미노산이라 반드시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한다. 바나나, 치즈, 달걀흰자, 생선, 육류, 씨앗류 등에 풍부하다.

이밖에 햇빛에 몸을 노출하는 시간을 늘리거나 운동, 독서, 대인관계, 잠자리 스마트폰 자제 등도 계절성 우울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만 슬픈 책은 피해야 한다.

이 교수는 “특별한 이유 없이 우울감이 지속하고 일상이 힘들다면 전문의의 도움을 요청해 우울증 피해를 줄이고 빨리 회복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