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다른 종이라고 착취·차별 말아야”…실험·해부·집단 사육·도살 금지 요구 시위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나는 모피가 되고 싶지 않다
14일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열린 ‘종 차별 없는 세상을 향한 2018 동물권 행진’에 참여한 시민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세계 동물권 선언의 날’을 하루 앞둔 14일 국내 첫 ‘동물권 행진’이 열렸다. 동물권 단체 ‘동물해방물결’은 이날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생물학적 종을 구분해 차별하면 안 된다”면서 “모든 동물의 고통받지 않을 권리를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세계 동물권 선언은 1978년 10월 15일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공포됐다. 이후 미국, 영국, 독일 등에서 동물권 행진이 있었지만 한국에서 열린 건 이번이 처음이다.
동물해방물결은 “한국에서 지난해에만 소 87만 마리, 돼지 1672만 마리, 닭 9억 3600만 마리가 식용으로 도살됐고 쥐와 원숭이 등 380만 마리가 실험에 동원됐다”면서 “동물도 고통을 느낀다는 점에서 인간과 동등하다. 다른 종이라 해서 이들을 착취하고 차별할 권리는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동물을 물건으로 취급하는 민법 개정, 동물의 집단 사육 및 도살 금지, 동물원 폐지, 동물 실험 및 해부 중단, 종 차별 인식 개선 교육을 요구하며 종로와 광화문 일대를 행진했다. 검은색 티셔츠를 입은 100여명이 ‘나는 실험실에서 죽고 싶지 않다’, ‘착취 없는 식탁’, ‘동물학살 멈춰라’ 등의 문구가 쓰인 피켓을 들고 함께했다. 개, 너구리, 코끼리 등 동물 가면을 쓰고 거리에 누워 대형 스피커로 동물 울음소리를 트는 ‘동물의 아우성’ 퍼포먼스도 곁들여졌다.
행진에 참여한 대학생 조혜령(20)씨는 “살충제 달걀 사건에서 보듯 동물의 건강이 곧 인간의 건강”이라면서 “최근 사살된 퓨마 사건 이후 동물권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 이 같은 관심이 실제 동물을 위한 환경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에 거주하는 독일인 베안트(36)는 “독일에선 젊은 사람들 중심으로 동물권 보장 목소리가 크다. 앞으로 한국에서도 논의가 활발해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18-10-1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