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황유미씨 부친 황상기씨
“돈 없고 힘없는 노동자 병으로 죽는데10년이 넘도록 해결 못하니 섭섭” 토로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이제야 눈물을 닦아봅니다
삼성전자 기흥공장에서 근무하던 중 백혈병에 걸려 2007년 사망한 고 황유미씨의 아버지 황상기씨가 24일 서울 서대문구 법무법인 지평에서 열린 ‘삼성전자·반올림 간 제2차 조정(중재) 재개를 위한 중재방식 합의 서명식’에서 소감을 밝히던 중 눈물을 흘리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반올림 대표 황상기씨는 24일 삼성전자 측과의 중재안 서명식을 마친 뒤 밝힌 소감에서 감격과 슬픔이 교차하는 듯 울먹이며 이렇게 말했다. 황씨는 2007년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에서 일하다 백혈병으로 숨진 고 황유미씨의 아버지다. 딸이 백혈병에 걸린 지 13년, 사망한 지 11년이나 지난 지금에서야 갈등이 풀렸다는 사실이 실감 나지 않는 듯해 보였다.
황씨는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10년이 넘도록 이어져 온 지난한 싸움을 되돌아보며 심경을 털어놨다. 그는 “유미가 투병할 적에 꼭 원인을 찾아 주겠다고 약속했는데, 처음엔 아무도 이 일이 산업재해라고 말하는 나를 믿어 주지 않았다”고 떠올렸다. 황씨는 딸이 반도체 공장에서 일하다 백혈병에 걸려 사망했다는 사실을 사회라는 무대 위에 올려놓으려 애를 썼다. 같은 피해가 되풀이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황씨가 나서자 하나둘씩 제보가 쌓였다. 황씨는 “한 사람, 두 사람 제보가 들어오더니 300명 넘는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다고 호소했다”면서 “제보가 한 건, 한 건 들어올 때마다 유미와 같은 일이 계속 반복되는 것 같아 가슴이 아팠다”고 전했다.
황씨는 이번 합의가 노동자 직업병 문제의 끝이 아닌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반올림을 선례로 앞으로는 노동자들이 어느 사업장에서나 안전한 상황에서 일했으면 좋겠다”고 힘줘 말했다.
정부의 미미한 역할도 꼬집었다. 그는 “안전 문제에 대한 사업장 처벌이 미미하면 노동자들이 죽어 나가도 고치려 하지 않는다”면서 “안전이 소홀한 사업장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노동자에게 직접 사업장의 안전을 관리하도록 권한을 줄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어 “사람이 일한다는 건 더 좋은 삶을 살기 위한 것이 아니냐. 더 나은 삶을 위해, 먹고살기 위해 일하러 갔다가 사업장에서 병이 나 사고로 목숨을 잃으면 얼마나 불행한 일이냐”면서 “노동자 모두가 행복하게 살아가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2018-07-2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