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15%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청소년 15%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6-22 09:48
수정 2018-06-22 09: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초등학생·여학생 위험군 증가세

우리나라 청소년의 약 15%는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에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전국 학령전환기 청소년 129만1천546명을 대상으로 한 ‘2018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 15.2%에 해당하는 19만6천337명이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과의존 위험군’으로 진단됐다고 22일 밝혔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두 가지 문제를 모두 가진 ‘중복위험군’ 청소년은 6만4천924명으로 집계됐다.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은 14만421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 과의존 성향이 매우 높아 관련 기관의 전문적인 지원과 도움이 필요한 ‘위험사용자군’은 1만3천440명, 과의존에 대한 주의가 요망되는 ‘주의사용군’은 12만6천981명이었다.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12만840명으로, 위험사용자군이 1만4천324명, 주의사용군이 10만6천516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3~4월 초등학교 4학년 44만2천명, 중학교 1학년 41만명, 고등학교 1학년 43만9천명 등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다.

작년에는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14.3%였으나, 올해 0.9%포인트 상승해 15%를 넘어섰다.

연령별로 보면 중·고등학생 과의존 위험군은 작년과 비슷하거나 감소하는 추세였다.

그러나 초등학교 4학년의 경우 작년에 이어 인터넷과 스마트폰 모두 위험군 수가 증가, 중독의 저연령화 현상이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학생의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초등학교 4학년의 경우 과의존 위험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약 두 배 많았으나, 중1·고1의 경우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많았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복위험군 전체 합계도 여학생이 3만3천900명으로 남학생(3만1천24명)보다 많았다.

최근 여학생의 게임 이용 증가 및 1인 미디어·유튜브 등 영상 콘텐츠 소비가 증가하면서 여학생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는 체험형 예방교육을 확대하고, 유치원·어린이집의 의무예방교육 관리를 강화하는 등 올바른 미디어 이용습관을 조기에 형성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여자청소년 대상 기숙치유프로그램을 지속해서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