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째 증가… 매년 10만명 넘어
가정의 달·8월 사고 발생 최다주말 비중 21%… 평일의 2배

연합뉴스
가정의 달을 맞아 볼보자동차코리아가 ‘어린이 안전조끼 착용’ 교통안전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3일 서울 서대문구의 한 어린이집 원아들이 눈에 잘 띄는 형광 안전조끼를 입고 길을 건너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특히 어린이 교통사고 피해자는 2015년 10만 302명에서 지난해 10만 6852명으로 늘어나는 등 최근 3년 간 증가세를 보였다. 어린이 사망자는 2015년 73명, 2016년 71명, 지난해 65명 등이었다.

어린이 피해자는 바깥 활동이 많은 5∼10월에 많았다. 여름방학 시기인 8월(10.5%)과 가정의 달인 5월(10.1%)의 사고 발생 비중이 컸다. 요일별로는 토요일(23.1%)과 일요일(19.3%) 등 주말의 비중이 평균 21.2%로 월∼금요일(평균 11.5%)의 2배에 가까웠다. 평일 사고는 등·하교 때, 특히 오후 3∼6시에 집중적으로 분포했다. 주말 사고도 오후 1∼5시에 많았다.
어린이는 성인보다 횡단보도 사고 위험이 컸다. 전체 피해자 중 횡단보도 사고 비중은 10.7%였지만, 어린이 피해자만 추리면 이 비중은 22.1%로 나타났다.
어린이 횡단보도 사고 역시 1∼2학년(487건), 3∼4학년(404건), 5∼6학년(329건)으로 저학년일수록 많았다.
차량 탑승 중 발생한 어린이 피해자(중상사고 기준)의 안전띠 착용률은 2015년 60.3%에서 지난해 71.7%로 상승했다. 다만 성인 피해자의 착용률(3년 평균 81.6%)과 비교하면 어린이의 착용률(평균 65.7%)은 여전히 낮았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어린이의 안전한 차량 탑승을 위해 오는 9월 28일부터 시행되는 전 좌석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를 준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2018-05-0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