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추행 논란에 휩싸인 고은 시인이 8일 경기 수원시 장안구 광교산에 있는 자택 ‘문화향수의 집’ 정원에서 회색 모자와 선글라스, 마스크를 착용한 채 밖을 내다보고 있다. 2013년부터 이곳에 거주하며 창작 활동을 해 온 고은 시인은 주민들의 퇴거 요구에 성추행 논란까지 불거지자 5년 만에 ‘광교산 문화향수의 집을 떠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뉴스1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성추행 논란에 휩싸인 고은 시인이 8일 경기 수원시 장안구 광교산에 있는 자택 ‘문화향수의 집’ 정원에서 회색 모자와 선글라스, 마스크를 착용한 채 밖을 내다보고 있다. 2013년부터 이곳에 거주하며 창작 활동을 해 온 고은 시인은 주민들의 퇴거 요구에 성추행 논란까지 불거지자 5년 만에 ‘광교산 문화향수의 집을 떠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뉴스1
27일 동아일보는 고은 시인(85)이 공개적인 자리에서 성폭력을 일삼았다고 주장하는 제보자의 증언을 보도했다. 문인 A씨는 지난 2008년 4월 지방의 한 대학 초청 강연회에 참석한 고은 시인이 뒤풀이 자리에서 20대 여성 대학원생에게 성추행을 했다고 폭로했다.
당시 고은 시인은 “이름이 뭐냐”, “손 좀 줘봐라”라며 대학원생의 손과 팔, 허벅지 등 신체 부위를 만졌다. 누구도 이를 말리지 못했고, 술에 취한 고은 시인은 노래를 부르다 바지를 내리고 신체 주요 부위까지 노출했다. A씨는 “그는 이 세계의 왕이자 불가침의 영역, 추앙받는 존재였다. 그런 추태를 보고도 제지할 수 없어 무력함을 느꼈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이 밖에 고은 시인이 자신의 시집 출판 계약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중소 출판사 여직원의 손과 팔, 허벅지 등을 주물렀다는 증언도 이어졌다.
한편 고은 시인은 최근 미투 운동(Me Too·성폭력 피해 고발) 확산으로 조명된 최영미 시인의 시 ‘괴물’ 속 주인공이라는 사실이 드러나며 세간의 비난을 받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