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육아휴직자 작년 1만명 ‘돌파’…민간부문 1만2천명 사용

남성 육아휴직자 작년 1만명 ‘돌파’…민간부문 1만2천명 사용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1-25 12:21
수정 2018-01-25 12: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년보다 58.1% 증가…대기업서 활용도 높고 중소기업은 저조

지난해 민간부문의 남성 육아휴직자가 처음으로 1만 명을 돌파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민간부문의 남성 육아휴직자 수가 1만2천43명으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지난 1995년 남성 육아휴직이 허용된 이래 연간 휴직자 수가 1만 명을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전년도(7천616명)와 비교하면 58.1% 증가했다. 지난해 전체 육아휴직자(9만123명) 중 남성의 비율은 13.4%를 차지해 전년(8.5%)보다 5% 포인트 가까이 늘었다.

남성의 평균 육아휴직 기간은 약 6.6개월로 여성(10.1개월)보다 상대적으로 짧았다. 3개월 이하 사용비율은 41%로 여성(9.5%)보다 단기간 활용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기업의 남성 육아 휴직자가 전체의 62.4%(7천514명)를 차지해 대기업에서 육아휴직 활용이 용이한 것으로 분석됐다.

중소기업은 남성 육아휴직 실적이 저조하지만, 꾸준히 확산하는 분위기다. ‘10인 이상 30인 미만’은 전년 대비 43.8% 늘어난 775명, ‘30인 이상 100인 미만’은 38.6% 증가한 1천163명이 육아휴직을 사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현상은 일·가정 양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고, 육아휴직에 따른 소득 감소를 보전하는 조치를 강화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대개 남성인 2차 사용자에게 첫 3개월에 한해서만 급여를 통상임금의 100%로 인상해 지급하는 ‘아빠 육아휴직 보너스제도’를 시행 중이다.

올해 7월부터는 모든 자녀에 대한 상한액이 200만 원으로 상향 조정된다. 이 제도는 지난해 이용자 수가 4천408명으로 전년(2천703명)보다 63.1% 증가했다.

아울러 지난해부터는 육아휴직 초기 3개월간 급여를 통상임금의 40%에서 80%로 늘리고 상한액도 100만 원에서 150만 원으로 조정했다.

고용부는 올해 아빠 맞춤형 육아 포털인 ‘아빠넷’(www.papanet4you.kr)을 통해 우수 사례를 공유하고 남성의 육아 참여 분위기 확산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방침이다.

김덕호 청년여성고용정책관은 “아빠 육아휴직 확산을 더욱 촉진해 여성고용률 제고와 일·생활 균형 직장문화 조성을 위한 기폭제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