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허청 제공
특허청 농림수산식품심사과 김민정(38) 심사관이 지난 1일 집에서 심사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출산한 김 심사관은 경력이 단절되는 육아휴직 대신 재택근무를 신청, 화요일을 제외한 4일을 집에서 근무한다.
특허청 제공
특허청 제공
특히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원하는 30, 40대 여성은 절반 가까이가 임금이 20% 이상 줄어드는 것을 감수하겠다고 밝혀 근로시간 단축 욕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고용노동부는 중앙정부와 자치단체, 공공기관, 교사 등 공공부문 근로자 30만 1533명을 대상으로 전환형 시간선택제 수요를 조사해 26일 발표했다.
전환형 시간선택제는 전일제 근로자가 육아, 학업 등을 이유로 1주일에 15~30시간으로 단축 근무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일정 기간 뒤 전일제 근무로 복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 시간선택제와 구분된다.
조사 결과 3만 1659명(10.5%)이 3년 이내의 기간 동안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활용하길 원했다. 30대 여성이 29.6%로 가장 많았고 30대 남성(21.3%)과 40대 남성(11.9%)이 뒤를 이었다. 이유는 ‘육아·보육’(51.3%), ‘학업·자기계발’(14.0%), ‘임신’(7.4%), ‘건강’(6.8%) 등이 많았다.
3년 내 전환형 시간선택제 활용을 원하는 3만 1659명 중 39.4%는 임금이 20% 이상 줄어드는 것을 감수하고서라도 이를 활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30대와 40대 여성은 각각 전체 조사 대상자의 45.6%와 46.3%가 20% 이상 임금이 줄어드는 것을 감수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단축하고 싶은 근무시간은 ‘2시간 이하’(52.5%), 단축 기간은 ‘6개월∼1년 미만’(38.0%)이 가장 많았다. 이번에 함께 조사한 남성 육아휴직의 경우 초등학교 2학년생 이하 자녀를 둔 30대 남성의 11.3%가 3년 내 육아휴직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공공부문 시간선택제 활용 계획을 수립, 이행하고 실적을 점검할 계획이다.
나영돈 고용부 청년여성고용정책관은 “전환형 시간선택제와 남성 육아휴직은 근로자를 위한 특혜가 아니라 조직의 건강한 생존과 성장에 필요한 제도”라며 “사내눈치법 타파를 위한 인식 개선 캠페인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