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무상보육 내달 중단 위기…예산 바닥

서울 무상보육 내달 중단 위기…예산 바닥

입력 2012-08-13 00:00
수정 2012-08-13 07: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돌려막기ㆍ카드사 대납 요청 등 최후수단 사용

서울 대부분 자치구가 예산 고갈로 내달 무상보육을 중단해야 할 위기에 처했다.

13일 서울시와 자치구에 따르면 서초구는 25일까지 추가 대책이 발표되지 않으면 이달 보육료부터 카드사에 예탁금 대납을 요청하기로 결정했으며, 예산을 서로 당겨 쓰던 나머지 24개 구도 9월 이후 보육 예산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서울 자치구에서 무상보육 예산 부족 사태가 초래된 것은 정부가 작년 12월 소득 하위 70%의 가정에 지원하던 0~2세 보육료를 전 계층으로 확대, 서울 전체 무상보육 대상 아동이 6만6천840명, 예산은 약 7천억원 늘어났기 때문이다.

또 정부가 지난 1일 0~2세 전면 무상보육에 따른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보육료 부족분 6천639억원 중 예측치를 초과해 보육시설로 몰린 아동 7만여명에 대한 추가 소요예산 2천851억원만 지원키로 해 서울의 각 자치구는 부족 예산을 메우지 못했다.

조현옥 시 여성가족정책관은 “지방채를 발행해 쓰라는 뜻인데 지금 상황에선 턱없이 부족하다. 추경예산도 예비비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조 정책관은 “사정이 나은 구의 예산을 보육서비스가 당장 중단될 위기에 처한 구로 옮기거나 다음 달 예산을 미리 지급하는 등 마지막 임시방편을 쓰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7월 예산이 바닥나 무상보육 중단 선언을 했던 서초구는 다른 구의 10월치 예산을 당겨 받았지만 또다시 가장 먼저 예산이 바닥을 드러냈다.

구 관계자는 “8월분부터 예산이 부족해 25일까지 정부의 추가 지원이 없으면 보건복지부 정보개발원의 협조를 구해 카드사에 예탁금 대납을 요청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다행히 한 달은 넘겼지만 9월도 예산이 없는 상태여서 다음 달에도 정부에서 추가 대책을 내놓지 않으면 사업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초구가 가장 먼저 예산 고갈 상황을 맞은 것은 전체 무상보육 대상자에서 소득 상위 30%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서초구는 0~2세 전면 무상보육 시행 후 무상보육 대상이 1천665명에서 5천113명으로 급증했다. 대상자 중 68%(3천400명)가 상위 30%인 셈이다.

나머지 24개 자치구도 모두 9월분부터 예산이 고갈될 전망이다.

송파구 관계자는 “시에서 29억원을 당겨 받았는데 9월부터는 예산이 부족한 상황이다. 시도지사협의회가 정부와 협의를 하고 있다고 들어 설마 그때까지 가겠나 하는 생각에 카드사 대납 요청은 아직 안 했지만 불안하다”고 말했다.

지난달 정부에 재정 지원을 요청했던 서울구청장협의회는 다음 주 중으로 기획재정부와 만나 올해 구비 부담분은 정부에서 지원하고 내년부터 지방재원으로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김성배 성북구청장은 “기재부와 상의가 끝나면 오는 20일 전후로 협의회를 열어 후속 조치를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가래여울변 한강 산책로 조성 이어 자연친화 쉼터 조성 본격화

‘강동엄마’ 박춘선 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인 지난 21일 미래한강본부 담당자들과 함께 강동구 가래여울 한강변을 찾았다. 이번 방문은 지난 산책로 조성 이후 변모된 현장을 살피는 차원에서 진행됐다. 가래여울 한강변은 상수원보호구역이자 생태경관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상당 기간 방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박 의원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주민들이 산책하고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탈바꿈해 나가는 중이다. 이날 박 의원은 현장점검에서 새로 교체된 막구조 파고라와 산책로 주변 수목 정비 및 6월 1차 풀베기와 가지치기 작업 상황을 살펴보고, 이어서 7월 중 실시될 2차 풀베기 일정까지 꼼꼼히 챙겨봤다. 박 의원은 관계자들과 함께 장마로 훼손된 잔디와 생태교란식물 제거, 편의시설 보강 등 세부적인 관리 개선책을 논의하며 가래여울 한강변을 “방치된 공간에서 시민들이 사랑하는 쉼터로 만드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적극 행정을 펼칠 것을 주문했다. 이날 현장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두 가지 사업을 집중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올해 7월부터 9월까지는 간이 피크닉장을 조성하여 ▲평의자 4~5개와 안내표지판을 설치하고 ▲토사 유출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가래여울변 한강 산책로 조성 이어 자연친화 쉼터 조성 본격화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