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갑
박현갑 기자
안녕하세요. 서울신문 박현갑 기자입니다. 역지사지하는 마음으로 진실을 추구하고자 합니다.
최신 뉴스
  • “국정운영에 지방은 30년째 들러리… ‘분권형 개헌’ 공론화 필요”

    “국정운영에 지방은 30년째 들러리… ‘분권형 개헌’ 공론화 필요”

    중지협 내실화는 진정한 지방시대 지역안정·민생 경제 회복에 집중정부는 추경 편성·규제 완화 필요 인사 체계도 지방정부에 맡겨야30년째 중앙집권적 사고 안 변해중앙정부, 지방보다 우월적 인식역할의 차이뿐 상하 개념은 아냐정책들 지방에 효율적 작동 안 돼행정은 반드시 수요자 중심으로 특권문화가 대한민국을 후퇴시켜인구
  • 울산 대왕암에서

    울산 대왕암에서

    설 연휴에 울산 대왕암공원을 찾았다. 수령이 100년은 족히 넘어 보이는 소나무들이 변함없이 방문객을 맞는다. 산책로에 있던 수국은 색이 바랬으나 송림은 여전히 푸르다.소나무 숲을 나오자 푸른 동해 속 대왕암이 자태를 드러낸다. 발걸음이 절로 빨라진다. 시원한 바닷바람에 잡념은 흩어지고, 파도가 철썩일 때마다 호
  • 인공지능(AI) 학교생활기록부

    인공지능(AI) 학교생활기록부

    “법 없이도 살 만한 모범학생입니다.”, “공부는 잘하나 고집불통에 학칙을 어기는 경우가 많아 가정지도가 필요합니다.”예전에 중학교 성적표 뒷면에 교사가 직접 적던 학생에 대한 평가들이다. 좋은 평가는 격려로, 부정적 평가는 자녀와 교사를 향한 눈총으로 이어졌다. 요즘은 이런 평가를 담은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는
  • 겨울날 책의 온기

    겨울날 책의 온기

    파주출판단지에서 출판사를 운영하는 지인이 있다.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출판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을까. “한강 책만 팔리지, 다른 책은 여전히 안 팔려요.” 의외의 대답이다. ‘한강 효과’로 출판시장의 한파가 녹아내리길 기대한 건 과욕이었나 보다. “사람들이 유튜브만 보지 않느냐”는 그의 말에서 출판업의
  • ‘장관급’ 광역단체장

    ‘장관급’ 광역단체장

    금수저, 흙수저. 사회이동성이 약해진 한국 사회의 계급 고착화 현상을 풍자하는 말이다. 그런데 이런 현상은 행정조직에도 뿌리 깊게 박혀 있다. 중앙과 지방 간의 수직적 관계가 그런 경우다. 올해로 민선단체장 시대가 열린 지 30년이지만 중앙정부 중심의 형식적인 지방자치일 뿐이다.허울뿐인 자치시대는 민선단체장 대우
  • 비상계엄과 탄핵이 만든 ‘한남산성’

    비상계엄과 탄핵이 만든 ‘한남산성’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 사회가 극단적 대립으로 치닫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두고 시민 대 시민, 공권력 대 공권력의 대치로 내전 상태나 다름없다. 범죄만 다루던 검사 출신 대통령이 대화와 타협의 가치를 경시하며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를 초래한 결과다.이런 상황에서 정치의 사법화로 시달리는 곳이
  • 먹는다는 의미

    먹는다는 의미

    “할머니, 식사 많이 하세요.”, “우리 손자도 밥 잘 먹고 공부 열심히 해라.” 할머니와 손자가 나눈 정겨운 전화통화 내용이다. 먹는 행위를 소재로 사랑과 애정을 주고받는다.먹는다는 건 음식물을 섭취하는 행위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우선 사랑과 관심의 표현이다. 어머니가 자식을 위해 끓인 국 한 그릇은 단순한
  • 2025 신년사

    2025 신년사

    섣달그믐부터 카카오톡으로 새해 인사가 쏟아진다. 휴대전화 화면 가득 새해 복 많이 받으라는 메시지가 쌓인다. 예전에는 종이 연하장으로 인사를 주고받았다. 카톡 등 모바일 메시지로 대체된 지금 돌아보면 아련한 풍경이다.새해 첫날이면 이런 일상적인 인사 외에 정치인과 기업인의 신년사도 접하게 된다. 지인 간 새해 인
  • 대리 여행

    대리 여행

    주말에 스위스로 여행을 다녀왔다. 직접 간 건 아니고 여행 유튜버를 통한 ‘대리 여행’이었다. 하지만 실제 다녀온 것처럼 멋진 시간을 보냈다.여행지는 알프스의 산골마을, 그린델발트였다. 텔레비전 화면 가득 설경이 펼쳐진다. 눈 덮인 알프스를 배경으로 산비탈에 옹기종기 자리잡은 목조 주택들이 보인다. 소복이 눈이
  • 낮아지는 ‘사회이동성’

    낮아지는 ‘사회이동성’

    ‘코리안 드림.’ 더 나은 삶을 위해 한국을 찾는 사람들의 상징이다. 100만명을 돌파한 외국인 취업자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이들은 문화적 배타성, 의사소통의 어려움 등 이국 생활의 여러 장벽에도 불구하고 노력하면 경제적 안정을 이룰 수 있다는 꿈을 간직하고 있다. 한류 열풍 속에 서울을 찾는 아이돌 지망생들도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