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행 요청중 北대사관 개입… 외교부 대책회의 열고 TF구성
한국행을 준비하던 청소년을 포함한 탈북자 9명이 라오스 정부에 의해 중국으로 추방돼 북송 위기에 처했다.
이들의 한국행을 돕던 한국인 주모씨는 28일 “어제 오후 6시쯤 라오스 당국이 아이들을 중국으로 추방했다고 우리 대사관에 통보했다”면서 “나도 대사관 연락을 받고서야 알았다”고 밝혔다.
탈북자들은 15∼22세의 남자 7명과 여자 2명으로 알려졌다. 지난 9일쯤 중국·라오스 국경을 넘은 이들은 불심검문에서 라오스 경찰에게 붙잡혀 16일쯤 수도 비엔티안에 있는 이민국에 억류됐다.
우리 정부는 억류 사실을 파악한 뒤 라오스 정부에 신병 인도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라오스 측도 처음에는 신병 인도 의사를 밝혔으나 태도를 바꿔 강제 추방했다. 탈북자 9명은 추방 전 현지 북한 공관에 넘겨졌으며 추방될 때도 비행기에 북한 관계자들이 탑승해 호송을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황상 북한이 자신들에 우호적인 라오스 정부를 압박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과 라오스는 2008년 6월 비엔티안에서 민·형사사건에 대한 법률협조조약과 사회안전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지난해 5월 리영호 당시 북한군 총참모장, 같은 해 8월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이 라오스를 찾는 등 김정은 체제가 들어선 이후 고위급 교류가 부쩍 늘었다.
외교부는 탈북자 추방을 파악한 직후인 전날 저녁 윤병세 장관 주재로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이경수 차관보를 팀장으로 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하지만 북한이 직접 개입된 탓에 탈북자들은 북송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3-05-2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