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꿈의 득표율’ 목표로 호남 올인하는 국민의힘

20%대 ‘꿈의 득표율’ 목표로 호남 올인하는 국민의힘

이하영 기자
입력 2022-01-29 09:00
수정 2022-01-29 09: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윤석열의 디지털 혁신 방향은?’
‘윤석열의 디지털 혁신 방향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28일 오후 서울 마포구 누리꿈스퀘어에서 혁신벤처단체협의회 주최로 열린 벤처?ICT 혁신 전략 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1.1.28 뉴스1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오는 3월 대통령 선거에서 ‘보수의 무덤’이라 불리는 호남지역 역대 최고 득표를 목표로 호남 민심 잡기에 주력하고 있다. 일부 여론조사에서 호남 지지율 20%대를 기록하면서 한껏 고무된 국민의힘은 호남 구애 행보에 당력을 집중했다.

28일 국민의힘 선대본부에 따르면 윤 후보는 설 연휴 직후 첫 지방 일정으로 호남 방문을 계획하고 있다. 또한 윤 후보와 이준석 대표가 다음 달 무궁화호 4량을 빌려 지방 곳곳을 방문할 ‘윤석열차’의 목적지로도 호남 지역이 거론되고 있다.

윤 후보는 설 연휴에 맞춰 지난 25일 호남지역 230만 가구에 직접 쓴 손편지를 우편 발송하면서 호남을 집중공략 했다. 윤 후보는 이 손편지를 통해 “국민께서 정치 경험이 없는 저에게 제1야당의 대선 후보라는 막중한 책무를 맡기신 의미를 잘 알고 있다. 저는 5월 광주에 대한 보수 정당의 과오를 반성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호남의 미래를 함께 걷고자 한다”고 전했다.

이 대표는 오는 2월 1일 호남 당원들과 함께 광주 무등산에 오르는 일정을 계획하고 있다. 이 대표는 28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MZ세대라는 거짓말’ 북콘서트 행사를 마치고 “지금까지 다 하지 못했던 전라도 지역에서의 활동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고, 상징적인 조치로 당대표가 정초부터 호남 당원들과 함께 하게 됐다”고 밝혔다.

또한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저는 공식 선거운동 기간 전까지 호남 위주로 일정을 짜겠다. 호남의 구석구석, 다도해의 섬 하나하나까지 찾으면서 국민의힘이 호남 발전에 진정성이 있음을 보이겠다”고도 했다.

윤 후보는 최근 여론조사에서 10%대 지지율을 이어가고 있다. 일부 여론조사에서는 20%를 넘어서기도 했다. 민주화 이후 보수진영이 호남에서 거둔 대선 득표율 최고치는 2012년 당시 박근혜 후보의 10.5%였다.


이새날 서울시의원,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서울대표 결단식 참석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새날 의원(국민의힘, 강남1)은 지난 7일 서울고등학교 강당에서 열린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서울대표 결단식’에 이새날 서울시의원이 참석해 서울 대표 선수단을 격려했다. 이날 결단식에는 학생선수 856명을 비롯해 학부모, 교사, 지도자 등 약 1000명이 함께했으며, 학생선수단 입장, 축하공연, 격려사, 단기 전달식, 선수 선서, 스포츠 가치 실천 선언 순으로 진행됐다. 이 의원은 격려사를 통해 “서울을 대표해 출전하는 우리 선수들이 최선을 다해 노력한 만큼 값진 결과를 거두길 바란다”며 “학생선수들이 즐겁고 안전하게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서울 대표 선수단은 오는 5월 24일부터 27일까지 경상남도 김해 일원에서 열리는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에 참가해 35개 종목에서 기량을 겨룰 예정이며, 금메달 80개 이상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학생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안전한 훈련 환경을 위해 훈련비, 안전 설비비, 지도자 인건비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학습권과 인권 보장을 위해 방과 후와 휴일을 활용한 훈련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한편, 이 의원은 지난해 제53회 전국소년
thumbnail - 이새날 서울시의원,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서울대표 결단식 참석

이하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