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A 비무장화… 완장만 찬 北군인 남과 북 그리고 유엔군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에 합의하면서 지난 25일 오후 1시를 기점으로 JSA 안의 모든 화기와 탄약, 초소를 철수했다. 사진은 지난 26일 비무장한 북한 군인이 경비를 서는 모습. 지난해 10월 27일 판문점 북한 병사의 모습(작은 사진)과 비교하면 철모와 권총, 탄창이 사라진 대신 ‘판문점 민사경찰 27’이라고 적힌 완장을 차고 있다. 판문점 사진공동취재단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JSA 비무장화… 완장만 찬 北군인
남과 북 그리고 유엔군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에 합의하면서 지난 25일 오후 1시를 기점으로 JSA 안의 모든 화기와 탄약, 초소를 철수했다. 사진은 지난 26일 비무장한 북한 군인이 경비를 서는 모습. 지난해 10월 27일 판문점 북한 병사의 모습(작은 사진)과 비교하면 철모와 권총, 탄창이 사라진 대신 ‘판문점 민사경찰 27’이라고 적힌 완장을 차고 있다. 판문점 사진공동취재단
남과 북 그리고 유엔군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에 합의하면서 지난 25일 오후 1시를 기점으로 JSA 안의 모든 화기와 탄약, 초소를 철수했다. 사진은 지난 26일 비무장한 북한 군인이 경비를 서는 모습. 지난해 10월 27일 판문점 북한 병사의 모습(작은 사진)과 비교하면 철모와 권총, 탄창이 사라진 대신 ‘판문점 민사경찰 27’이라고 적힌 완장을 차고 있다.
판문점 사진공동취재단
2018-10-29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