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동아투위 사태 유감 표명
“해직 언론인의 일상은 무너졌고, 자유언론을 실천하기 위한 희생은 정당하게 평가받지 못했습니다. 젊은 청년이 백발이 되도록 국가와 사회가 이분들에게 빚을 갚지 못했습니다. 저는 오늘, 국민을 대표해 긴 세월동안 고통을 감내해온 해직 언론인과 가족들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작고한 분들과 가족들의 아픔에 고개를 숙입니다.”
청와대 페이스북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청와대 페이스북
청와대 페이스북
문재인 대통령은 24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19층에서 열린 ‘10·24 자유언론실천선언 44주년 기념식’에서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대독한 축사를 통해 “정당한 언론활동을 탄압한 국가권력의 부당함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 취임 후 자유언론실천선언 기념식 행사에 축사를 보낸 것은 처음이다. 이 행사는 1974년 대통령 긴급조치 1·2호로 유신헌법을 반대·부정·비방하는 모든 행위를 보도할 수 없게 되자, 10월 24일 동아일보 기자 180여명이 언론 자유를 쟁취하자는 내용의 자유언론실천선언을 하고 이후 언론계 및 사회 전반으로 저항이 확산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열렸다.
청와대 관계자는 “현직 대통령이 ‘동아투위(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사태’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 것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의 민주주의는 공론의 공간이 회복되면서 이뤄진 것이다. 언론인들의 실천과 함께 성취한 것”이라며 “이 자리를 빌려 자유언론실천선언의 정신으로 분투해온 모든 언론인들께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특별히 기억하고 싶은 것은 해직 언론인들의 삶”이라며 “해직 언론인들은 펜과 마이크는 빼앗겼지만 언론인의 정신을 잃지 않고 끈질기게 불의에 맞섰다. 그분들이 있었기에 한국 언론은 다시 일어설 수 있었고 자존심을 지켰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대통령이자 촛불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자유언론을 지키려는 모든 실천을 지지하고 응원한다”며 “자유언론을 위한 활동이 우리 역사, 우리 모두의 자랑이 되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