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당 손학규 중앙선거대책위원장이 24일 서울 송파을 국회의원 재선거 출마 의사를 밝혔다.
이미지 확대
3일 국회에서 바른미래당 6·13 지방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장을 맡기로 한 손학규 전 국민의당 상임고문이 유승민 공동대표,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 등 당지도부와 함께 손을 잡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18.05.03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3일 국회에서 바른미래당 6·13 지방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장을 맡기로 한 손학규 전 국민의당 상임고문이 유승민 공동대표,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 등 당지도부와 함께 손을 잡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18.05.03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손 위원장은 이날 오전 광화문 인근 모처에서 유승민 공동대표와 만나 출마의 뜻을 직접 밝혔다.
그동안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 등은 ‘이기는 후보’를 전면에 내세워 손 위원장을 송파을 재선거 후보로 전략공천할 것을 주장해왔고, 손 위원장은 이 같은 제안을 고사해왔다. 손 위원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유 공동대표와의 회동 전)박주선 공동대표와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가 전화를 걸어 ‘생각을 바꿔달라, 당을 위해 희생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강남지역 분위기, 나아가 서울시장 선거 분위기를 끌어올리는 데 송파을 선거가 큰 도움이 되는 만큼 ‘3등 후보’를 그냥 낼 수는 없지 않겠느냐며 아주 간절히 호소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나를 버리고 희생하자는 생각으로, 유 공동대표를 만나 박 공동대표와 안 후보의 생각을 전하고 ‘많은 사람이 송파에 나서 붐을 일으켜 달라고 해서 내가 나를 버리고 나서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유 공동대표는 반대의 뜻을 표했다고 한다.
손 위원장은 “유 공동대표는 ‘안된다, 박종진 예비후보는 어떻게 하느냐’고 했다”며 “제가 유 공동대표에게 ‘생각을 바꿔달라, 박 예비후보도 설득해달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손 위원장은 또 ‘경선 1위를 공천하는 게 원칙’이라는 유 공동대표에게 “정치는 더 큰 원칙이 있다. 선거에 이겨야 하고, 바른미래당이 이번 선거에서 다음 정계 개편의 불씨를 살릴 수 있는 기초를 만드는 것이 더 큰 원칙”이라며 생각을 바꿔 달라고 당부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내가 지금 자리에 연연하겠는가, 지방선거를 위해서 안 후보와 서울시장 선거를 위해서 나를 희생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유 공동대표에게 말했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박종진 예비후보 기자회견 바른미래당 박종진 송파을 예비후보가 23일 국회 정론관에서 송파을 재보선 공천 갈등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바른미래당은 송파을 후보를 경선을 통해 결정했지만 최근 당 지도부에서 전략공천 주장이 제기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2018.5.23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박종진 예비후보 기자회견
바른미래당 박종진 송파을 예비후보가 23일 국회 정론관에서 송파을 재보선 공천 갈등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바른미래당은 송파을 후보를 경선을 통해 결정했지만 최근 당 지도부에서 전략공천 주장이 제기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2018.5.23 연합뉴스
유 공동대표는 손 위원장과의 회동에 앞서 경선 1위인 박 예비후보도 만났다. 박 예비후보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날 회동에서)유 공동대표가 제 의사만 확인했다”며 “(포기할 생각이 없다는)제 뜻은 확고하고, 전혀 변함이 없다고 말씀드렸다”고 전했다. 박 예비후보는 손 위원장이 출마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에 대해 “손 위원장의 태도가 돌변하는 것을 보고 정말 쇼크를 받았다”면서 “제가 알기로 유 공동대표는 전략공천은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공천을 위해서면 최고위 재적의 과반을 넘겨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아무도 공천하지 않는)‘무공천’으로 가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바른미래당은 오후 4시께 국회에서 최고위원회를 열어 송파을 전략공천 여부를 매듭지을 방침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