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사이버 해커 조직 ‘히든 코브라(Hidden Cobra)’가 4·27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국소비자원 등에 대한 대규모 해킹 공격을 시도했던 것으로 8일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
4차 산업혁명시대에 돌입하면서 사이버전쟁이 더욱 구체화되는 가운데, 북한이 무기 수준이라고 칭할 수 있을 정도의 해킹 능력을 갖췄다는 분석이 나왔다. 출처 123rf.com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4차 산업혁명시대에 돌입하면서 사이버전쟁이 더욱 구체화되는 가운데, 북한이 무기 수준이라고 칭할 수 있을 정도의 해킹 능력을 갖췄다는 분석이 나왔다. 출처 123rf.com
조선일보에 따르면 한국소비자원 등이 자유한국당 이종명 의원에게 보고한 자료에는 국가정보원 국가사이버안전센터가 지난 3월 31일 북한 해커그룹 ‘히든 코브라’가 소비자원을 비롯해 공정거래위원회 산하기관들의 웹사이트를 해킹 공격한 정황을 탐지했다.
지난달 9일부터 25일까지 해킹 공격 양상을 분석한 결과, 히든 코브라가 소비자원의 75개 IP에 대해 무차별 접근 및 해킹 공격을 시도한 사실이 확인됐다. 소비자원은 “히든 코브라가 원격 접근 방식의 해킹을 시도했으나 관련 IP의 접근을 차단해 피해는 없었다”고 했다.
조선일보 홈페이지 화면 캡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조선일보 홈페이지 화면 캡처
히든 코브라는 미국이 2009년 이후 발생한 글로벌 해킹 사태의 배후로 지목한 북한의 사이버 공격 조직이다. 지난해 5월 전 세계 30만대 컴퓨터를 감염시킨 랜섬웨어 ‘워너크라이’ 사태를 일으킨 것을 비롯해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해킹, 미국 뉴욕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해킹 등 수십 건의 해킹 공격을 했다.
전문가들은 히든 코브라가 남북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 사이버 도발을 벌인 점을 주목하고 있다. 남북 정상은 ‘4·27 판문점 선언’에서 ‘모든 공간에서 상대방에 대한 일체의 적대적 행위 중단’에 합의했다. 남북이 정상회담을 앞두고 ‘적대적 행위 중단’을 논의하는 시점에도 북한이 해킹을 시도했던 셈이다. 이종명 의원은 “이 시기 북한의 한국 정부 기관에 대한 해킹 시도가 더 있었던 정황이 있다”며 “북한이 일체의 적대 행위 중단을 협의하면서 뒤로는 대남 사이버 공작을 계속한 것”이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