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7일 역사적 남북정상회담에 줄무늬가 있는 검은색 인민복을 입고 등장했다. 김정은 위원장의 인민복 패션은 파란색 넥타이에 양복을 입은 문재인 대통령과 비교됐다. 그의 옷차림은 지난달 중국을 방문할 당시의 패션과 같았다.
27일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평화의 집 금강산 그림 앞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기념촬영을 하고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7일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평화의 집 금강산 그림 앞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기념촬영을 하고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김정은 위원장은 불테 안경을 착용했고, 그의 인민복에는 줄무늬가 들어가 있었다. 인민복은 사회주의 국가 지도자의 ‘상징’이다. 과거 중국의 등샤오핑 등 지도자들과 김정일 국방위원장도 인민복을 자주 입었다. 인민복은 사회주의 국가체제라는 것을 강조하면서도 너무 무겁지 않은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줄무늬를 넣은 것으로 분석된다. 또 뿔테 안경을 착용한 것은 어린 나이를 벌충해 위엄 내지 귄위를 더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3월 말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을 만날 때 입었던 것과 같은 차림의 옷을 입고 방남했다. 하지만 김정은 위원장이 자국에서 열린행사에서는 양복에 넥타이 차림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이 할아버지 김일성 주석처럼 양복을 입고 남북정상회담에 나올 것이란 관측이 나왔지만, 그런 예상을 깨고 북한 주민들을 만날 때와 마찬가지로 문재인 대통령을 만날 때도 인민복을 입었다.김정일 위원장은 2000년과 2007년 두 차례 남북정상회담 때 점퍼를 입었다.
한편 김 위원장을 수행한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은 회색 정장 차림이었다.
이기철 기자 chul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