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김영란법 피해 호소 자영업자들
24일 한국자영업자총연대 회원들이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내수 침체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이 김영란법 시행으로 피해를 볼 수 있다며 음식물과 선물, 경조사비 등의 허용 금액 기준 완화를 촉구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김영란법 시행이 민간소비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지적한 것과 맞물려, 여야 농어촌 지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법 개정 논의를 구체화하는 모양새다.
새누리당에서는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이완영 의원이 지난 24일 국회에서 열린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당정 간담회에서 농축수산물을 ‘김영란법’ 규제 대상에서 제외할 것을 요구했다.
이 의원은 김영란법이 원안대로 시행된다면 내수 침체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면서 이같이 건의했고,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도 공감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당 김종태 의원도 지난 19대 국회에 이어 20대 국회에서도 제한 품목에서 농축수산물을 예외로 하는 내용의 김영란법 개정안을 제출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농축수산물을 규제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안과 식사·선물 상한액을 상향하는 방안이 함께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지난 20일 의원워크숍에서 당 소속 농해수위원들은 농축수산물을 김영란법 적용 품목에서 제외하는 안을 논의 과제에 포함시켰다.
국민의당도 이런 움직임에 가세하는 분위기다. 농해수위 간사인 황주홍 의원은 2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농축산물 제외를 포함해 김영란법을 현실적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개정해야 한다”며 “정책위 차원의 논의는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농해수위를 중심으로 의견을 모으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각 당에서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지만 이런 움직임이 실제 김영란법의 개정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게 정치권 안팎의 분석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