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영·홍문종 등 출마 저울질…친박계 ‘후보 교통정리’ 골치, 비박 나경원은 표 분산에 눈치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의 당권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새누리당은 8월 9일, 더민주는 8월 27일로 전당대회 날짜를 확정한 상태다. 특히 내년 대선 국면에서 당을 이끌 대표이기 때문에 더욱 관심이 크다. 당권을 각 당의 어느 계파 후보가 쥐느냐에 따라 차기 대선 후보 경선의 판세도 달라질 수 있다.
새누리당은 친박(친박근혜)계 실세인 최경환(4선) 의원의 출마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다. 최 의원은 전당대회 출마와 관련해 직접적인 언급을 피하고 있는 가운데 친박계 내부에선 ‘최경환 등판론’에 군불을 때고 있다.
최 의원의 한 측근은 14일 “최 의원이 출마하는 게 맞다”면서 “현재 당내에서 지지 세력을 바탕으로 강력한 리더십을 보여줄 수 있는 사람은 최 의원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박근혜 정부 말기 국정 운영을 뒷받침하는 데 최 의원이 적격이라는 논리도 그의 출마설에 힘을 싣고 있다.
친박계에선 ‘후보 교통정리’가 가장 골칫거리다. 현재 이주영(5선), 홍문종(4선), 이정현(3선), 원유철(5선) 의원 등이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이들도 “친박 표가 분산되면 당권을 비박계에 내줄 수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출마 여부를 놓고 서로 눈치를 보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주영 의원은 이날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아직 (출마 여부에 대해) 말할 수 없다”고만 밝혔다.
비박계에서는 정병국(5선) 의원이 최 의원의 ‘대항마’로 꼽힌다. 혁신비대위가 이날 당 지도부를 ‘단일성’ 지도체제로 전환하기로 결정하면서 정 의원의 출마 움직임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정 의원은 지도부 체제 전환을 출마 조건부로 내걸었다. 나경원(4선) 의원의 출마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 두 사람도 비박 세력의 표 분산을 우려하며 동시 출마를 꺼리는 눈치다. 강석호, 김성태(3선) 의원 등은 최고위원 출마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6-06-1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