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관광수단 된 해외 자전거 투어

명품 관광수단 된 해외 자전거 투어

이성원 기자
입력 2016-03-18 23:06
수정 2016-03-19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빠르게 구석구석 둘러보기…회원 등록 없이 누구나 이용

프랑스 파리에는 ‘벨리브’라고 불리는 공공자전거가 있다. 영국 런던에서는 ‘BCH’,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는 ‘흰색자전거’라는 공공자전거가 명품 관광 수단으로 통한다.

걷는 것보다는 빠르게, 차보다는 감성적으로 도심 구석구석을 살펴볼 수 있는 게 공공자전거 인기의 비결이다. 탄생한 지 겨우 5개월이 된 ‘따릉이’(서울시 공공자전거)의 외국인 이용 비율은 아직 0.5%에 불과하다. 세계적인 관광 명품으로 도약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셈이다. 따릉이가 처음 운영된 지난해 9월 19일 이후 지난달까지 대여 건수는 14만 9565건이었지만 이주 외국인의 대여 건수는 783건(0.5%)이었다.

2007년 도입된 파리의 벨리브는 연간 80만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이용한다. 전체 외국인 관광객(2700만명)의 3% 정도다. 300m 간격으로 1751개 대여소가 있으며 2만 3900대의 자전거를 빌려준다. 베르사유궁전, 개선문, 에펠탑 등을 지나는 ‘벨리브 자전거 투어’의 가장 큰 장점은 접근성이다. 신용카드만 있으면 누구나 1.7유로(약 2200원)로 하루 동안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다. 관광지 근처의 민간기업이 자전거 주차장을 내주기도 한다.

런던의 BCH는 716개의 대여소에 8700여대의 자전거가 운용된다. 대중교통 수단으로 정착된 것이 특징이다. 하루 평균 2만 6000명이 이용한다. 회원 등록을 할 필요가 없어 외국인 관광객이 이용하기 편리하다. 하루 이용 금액은 3600원 정도다.

암스테르담의 흰색자전거는 1965년 세계 최초로 도입됐다. 전국 주요 철도역에 240개의 대여소를 설치했다. 관광객들은 공공자전거를 철도와 연계해 이용한다.

이신해 서울연구원 교통시스템 연구위원은 18일 “전세버스를 타지 않는 관광객에게 집중적으로 서울 공공자전거를 홍보하면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외국인은 신용카드 결제가 어려운 만큼 티머니나 외국인 사용 직불카드로 결제할 수 있게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관내 학교 급식 부족 민원 신속하게 점검 및 재발방지 주문

서울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및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지난달 16일 한 학생으로부터 학교 급식이 부실하게 제공됐다는 제보를 받고 서울시강동송파교육지원청 급식관리 관계자를 통해 현장을 파악하고 재발방지를 주문했다. 김 의원에게 접수된 급식 민원은 당일 제공되어야 할 메뉴 중 주찬 한 가지가 배식되지 않았고 나머지 급식도 만족스럽지 못해 제기된 민원이었다. 더욱이 급식 사진은 보통 학교 홈페이지에 올라오는데, 해당 급식 사진은 올려지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강동송파교육지원청 평생교육건강과에서 학교를 방문해 해당일 급식 제공 상황을 파악한 결과 체육관에서 구기 경기를 늦게 마친 30여 명의 학생들을 급식실에서 확인하지 못하고 이미 배식한 학생들에게 추가 배식을 해 해당 메뉴가 부족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홈페이지에 올리는 사진 또한 해당 메뉴가 부족하여 촬영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강동송파교육지원청은 재발방지를 위해 체육관 수업 등 변동이 발생할 때는 교무팀과 급식실이 소통하고 협력하여 학생들 급식에 차질이 없도록 지도했으며 배식 후가 아닌 배식 전에 급식 사진을 촬영해 홈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을 권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관내 학교 급식 부족 민원 신속하게 점검 및 재발방지 주문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6-03-19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