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도의 가격/박지성 지음/강유리 옮김/월북/408쪽/2만 2000원

118년 만에 최악인 초여름 폭염이 기승을 부린다. “남은 인생에서 올해가 가장 시원할 것”이라는 과학자들의 경고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국제사회가 파리 기후협정에서 설정한 ‘기후 재앙을 막는 마지노선’인 ‘1.5도 선’이 지난해 붕괴됐다. 홍수·지진·산불 등의 자연재해는 더욱 잦아졌으며 폭염은 일상이 돼 가고 있다. 이제는 기후변화의 실재 여부가 아니라 ‘이미 닥친 기후변화에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가 화두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설립자 빌 게이츠가 자문을 구한 와튼스쿨 환경경제학자이자 주목받는 한국계 소장 학자인 저자는 통계와 최신 연구를 통해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실재하는 기후변화의 비용에 주목한다. 지난 1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발생한 40년 만의 최대 규모 산불이 부른 경제적 손실은 400조원으로 추산된다. 저자는 “자연재해로 인해 파생된 미묘한 피해가 일상을 급격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고 강조한다.
유난히 더운 날에는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데 32.2도 이상의 폭염을 하루 더 겪을수록 미국 내 사망자가 3000명 늘어나며, 저소득층일수록 이러한 더위에 더 많이 노출된다. 또한 29도가 넘는 날에는 선선한 날에 비해 강력범죄 발생 확률이 9%나 높다.
이처럼 기후변화는 사회 전반에 걸쳐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다. 책에서는 에어컨을 살 경제적 여력이 있는 사람(국가)과 그렇지 못한 사람(국가) 사이의 건강 및 국력의 격차, 폭염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기후 이주 문제 등을 다각도로 조명한다.
책은 데이터에 기반해 경제학적인 시각으로 기후변화의 복잡미묘한 피해를 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할 지속 가능한 정책을 모색한다. 저자는 “현실은 비관적이지 않으며 개인과 정부가 작은 선택을 통해 긍정적인 변화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
2025-07-1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