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구를 지나 화장실로 들어갈 때, 자기가 페미니즘을 위험한 강이라고 여겼던 게 돌연 떠올랐다. 페미니즘을 껴안든 실천하든, 심지어는 자각하는 것만으로도 여성은 스스로를 위험에 빠뜨렸다.”
동시대 대만 문단을 대표하는 페미니즘 작가 류즈위의 소설. 사람이 여신으로 추앙받을 수 있게 된 시대에 젠더를 향한 사람들의 태도는 어떻게 됐을까. 여덟 편의 단편을 통해 출산과 양육, 고부 갈등, 워킹맘, 신체 자기 결정권 등 여성과 세상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펼친다. 제목 ‘여신 뷔페’는 여성이 자기에게 유리한 것만 골라 먹는다는 뜻의 페미니즘 백래시 표현인 ‘여권 뷔페’를 패러디한 표현이다. 408쪽, 1만 7000원.
소설 보다: 여름 2025(김지연·이서아·함윤이 지음, 문학과지성사)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모든 책에서 구원은 적의 공습 뒤에 찾아왔다. 적들이 온다는 것은 긴긴 괴로움으로 뭉쳐진 기다림, 그 자체로 하나의 세계가 되어버린 기다림이 끝난다는 의미이기도 했다.”
태양이 본격적으로 달아오르는 여름 읽기 좋은 세 편의 소설이 담겼다. 김지연의 ‘무덤을 보살피다’, 이서아의 ‘방랑, 파도’, 함윤이의 ‘우리의 적들이 산을 오를 때’다. ‘소설 보다’ 시리즈는 문학과지성사가 분기마다 ‘이 계절의 소설’을 선정하고 이를 계절마다 엮어 출간하는 단행본 프로젝트다. 동시대 최전선에 있는 작가들이 가장 뜨거운 문장으로 잔잔한 일상 속 기이한 존재의 무게를 그려 낸다. 180쪽, 5500원.
나 너희 옆집 살아(성동혁 글, 다안 그림, 봄볕)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산을 오르기 전 우리의 목표는 정상이 아니었죠. 우린 ‘함께, 오를 수 있는 만큼’ 오르자 했어요. 그것이 우리가 생각한 정상이었어요. 생각해 보면 친구들과의 시간이 그러했어요.”
시인 성동혁의 자전적 이야기를 담은 시 ‘나 너희 옆집 살아’와 에세이 ‘함께, 오를 수 있는 만큼’에서 출발한 그림책. 태어나면서부터 아픈 몸으로 살아야 했던 시인의 여정과 친구들의 우정, 삶을 담았다. 병실에 갇혀서 지내야 하는 일상의 연속, 전념할 수 있는 것은 오직 글이었다. 그런 작가에게 큰 힘이 돼 준 존재는 친구다. 우정이란 무엇인가. 그것 없이 우리 삶은 성립할 수 있는가. 40쪽, 2만 2000원.
2025-06-2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