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창 너머… 침팬지와 함께한 구달의 50년

과학의 창 너머… 침팬지와 함께한 구달의 50년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5-01-10 00:17
수정 2025-01-10 00: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창문 너머로/제인 구달 지음/이민아 옮김/사이언스북스/472쪽/3만원

이미지 확대


많은 사람이 ‘제인 구달’ 하면 침팬지 연구자이자 환경운동가 이미지를 떠올린다. 사실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구달이 한 일은 훨씬 대단하다. 만일 그가 없었더라면 우리는 여전히 침팬지에 대해 무지한 상태로 남아 있었을 것이다. 1960년 탄자니아 곰베 국립공원에서 그가 야생 침팬지 연구를 시작한 덕분에 침팬지와 인간이 생물학적으로는 물론 지능과 행동 면에서도 닮았음을 알 수 있었다. 구달이 연구에 뛰어들기 전까지만 해도 침팬지는 초식동물로 알려졌지만 무리 지어 원숭이나 천산갑을 사냥하는 모습이 관찰되면서 잡식동물임을 알게 됐다.

구달이 야생 침팬지 연구를 하고 보호에 나선 지 올해로 65주년이 된다. 이 책은 1990년 그가 30년 연구를 총정리해 내놓은 것이다. 이번 한국어판에서는 그 후 20년 이야기를 더해 침팬지와 함께한 구달의 50년을 생생하게 들려준다.

구달이 곰베에서 침팬지의 행동을 배우고 읽을 수 있었던 것은 ‘과학’이 열어 놓은 창문 덕분이라고 고백한다. 철학자나 신비주의자, 종교 지도자가 열어 놓은 창도 있었지만, 구달은 과학이 열어 놓은 창을 통해 인류의 지식이 닿지 않던 영역까지 더 멀리, 더 명확히 들여다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구달은 기존 과학에서 보여 주는 창에만 의존하진 않았다. 비교행동학을 비롯한 학계에서는 동물의 마음을 이야기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구달은 첫 논문에서부터 침팬지의 눈과 마음을 거론했다. 그 덕분에 침팬지도 사람처럼 자신의 본성이 있는 존재로 격상됐다.

구달이 평생을 같이하고 애정을 갖고 지켜봤던 침팬지들의 서식지는 인간의 벌목과 채굴 활동으로 점점 좁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유전적 다양성도 줄어 결국 생존을 위협받기까지 하고 있다. 실제로 침팬지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의 멸종 위기 등급에 오르게 됐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보면 구달이 왜 환경 운동가로 변신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책을 덮을 때면 우리 안의 비인간성을 대면하고 공감과 연민을 가질 때만 생태계와 인류를 구원할 수 있다는 구달의 음성이 귓가에 맴돌 것이다.
2025-01-1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