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오는 어느 날 밤. 광화문 교보문고에서 책을 읽고 나와 좁은 골목으로 향했다. 입구에 들어서니 생선구이 냄새가 진동한다. 머리에 내려앉은 눈을 툭툭 털고 자주 가던 식당에 들어갔다. TV가 잘 보이는 자리에 앉아 고등어구이를 갈비처럼 뜯었다. 그때 그곳, 종로구 피맛골에는 지금 대형 건물들이 들어섰다. 나는 그때 먹었던 고등어구이 맛을 여전히 잊지 못했건만.
큰길에서 이리저리 이어지는 골목은 한순간에 생겨나지 않았다. 그래서 저마다 역사가 있다. 지저분하고 단정하지 않은 골목이라도 특유의 향취가 느껴지는 이유는 뭘까. 그곳을 드나들던 사람들의 사연이 서서히 녹아 있기 때문일 것이다. 거리를 인간의 몸으로 비유하자면, 골목은 모세혈관이라 할 수 있다. 모세혈관으로 피가 끊임없이 흐르듯, 골목은 그렇게 끊임없이 사람들과 흘러간다. 신간 ‘골목 인문학’은 건축가 부부의 골목 답사 기록이다. 한국 골목들을 위주로 세계 유명 골목까지 모두 42곳의 골목을 다룬다. 골목이 생겨난 역사를 읽는 재미가 있다. 특히나 내가 다니던 골목이라도 나오면 더 반갑다. 수채화로 그려낸 골목 풍경이 푸근하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8-10-05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