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또에 당첨돼 생각지도 못한 일확천금을 얻은 상황에서 그린벨트에 묶여 개발될 가능성이 전혀 없는, 투자가치가 ‘제로’(0)인 숲을 사겠다고 하면 주변 사람들의 반응은 어떨까. 우리나라에서는 그런 얘기를 들으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갑자기 큰돈이 생기더니 정신이 나간 모양”이라고 비아냥거리거나 “사기꾼에게 속아 넘어간 불쌍한 사람”이라며 혀를 찰 것이다.
그렇지만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 선임 고생물학자였던 저자는 영국 BBC와 미국 디스커버리채널의 다큐멘터리 ‘퍼스트 라이프’ 제작에 참여해 받은 수익금 전액을 런던 근교 램브리지우드라는 시골마을에 있는 너도밤나무, 블루벨 숲 1만 6000㎡(약 4840평)를 구입하는 데 썼다. 저자는 “토지 광고에 적힌 ‘그림다이크 숲’이라는 이름이 거부할 수 없는 로맨틱한 분위기를 풍기는 바람에 덥석 달려들었다”며 너스레를 떨기도 한다.
저자는 과학자로서 틀에 박힌 관찰을 하는 것이 아니라 숲의 주인으로서 이곳저곳을 기웃거리고 천진난만한 어린아이처럼 자신이 모르는 것에 대해서는 전문가를 찾아나서고 도서관에서 역사책과 식물학책을 뒤지기도 한다. 저자는 이런 호기심이 과학의 발전뿐만 아니라 평화스러운 세상을 가져올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그는 “호기심의 적인 확신…타인에 대해 ‘나와 달리 사악하고 신앙심이 없는 사람’이라는 확신이 인류의 역사를 더럽힌 전쟁과 종족 학살의 배경”이라고 주장하며 ‘어린아이 같은 호기심’을 가지라고 시종일관 주장하고 있다.
숲 관찰기인 이 책은 연구실에 파묻혀 있는 과학자의 딱딱한 보고서가 아닌 한 편의 문학 작품으로 읽힌다. 그렇기 때문에 헨리 데이빗 소로의 ‘월든’과 미국 국립공원의 아버지 존 뮤어가 쓴 ‘나의 첫 여름- 요세미티에서 보낸 1869년 여름의 기록’의 계보를 잇는 생태 문학이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대신 소로의 ‘월든’처럼 무겁고 심각하지 않으며 농담 한마디 없이 시종일관 경건함을 유지해 딱딱한 느낌을 주는 뮤어의 책과는 다르다. 과학자 특유의 무뚝뚝함과 냉철함이 드러날 것만 같은 상황에서 갑자기 영국인 특유의 시니컬한 유머들이 튀어나와 책을 읽는 내내 미소를 띠게 만들기 때문이다.
아는 만큼 사랑하게 된다. 자연도 마찬가지다. 생태계 보존과 생명 존중은 말이 아니라 직접 보고 체험해 몸이 스스로 반응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이라도 당장 집 근처 공원으로 달려가 나무 하나, 작은 잡초 하나라도 자세히 살펴보는 게 좋지 않겠냐는 것이 저자가 책을 통해 하고 싶은 말이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8-04-2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