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은 묵묵히 공만 차올린다. 그의 발끝에서 공중으로 튀어오르는 공은 흰 침묵의 공간에 찬란한 불꽃놀이를 피워 낸다. 소년의 에너지가 모인 공은 역동적으로 교차하는 선들을 만들어 내고 사방팔방에 흐드러지는 색채의 향연을 뿜어낸다. 함경아 작가의 ‘악어강 위로 튕기는 축구공이 그린 그림’이다. 소년은 라오스의 악어강을 건너 한국으로 건너왔다. 작가는 국가대표 축구선수의 꿈을 키우는 그를 공들여 섭외한 이 작품으로 미술이 돈보다 더 큰 질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증명한다. 2000년대 이후 현대 한국미술은 이렇게 작품 하나에 다채로운 이야기를 담고 있다. ‘보는 자’에게 종속되지 않고 오히려 ‘보는 자’를 변화시키는 ‘까다로운 대상’, 현대 미술의 서사를 현장에서 오래 지켜본 저자가 들려준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5-2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