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민수&임윤찬’ 피아노 리사이틀
스승의 절제미와 제자의 자유로움피아노 나란히 두고 서로 눈빛 교환
건반 끝과 끝 오가며 ‘완벽 하모니’
‘장미의 기사 모음곡’에서 절정 이뤄
관객 기립 박수에 손 맞잡고 화답

현대카드 제공
지난 14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현대카드 컬처프로젝트30 손민수& 임윤찬’에서 손민수(오른쪽)와 임윤찬이 격정적인 연주를 펼치고 있다.
현대카드 제공
현대카드 제공
두 대의 피아노로 만드는 공연은 88개 건반을 두 배로 쓰면서 소리의 크기와 변주의 영역을 확장한다. 두 피아니스트 손민수(49·미국 뉴잉글랜드음악원 교수)와 임윤찬(21)의 공연에선 또 다른 재미를 만났다. 손민수가 꼿꼿한 우아함과 절도 있는 몸짓으로 연주했다면, 임윤찬은 자유분방하고 열정적인 움직임으로 강렬한 소리를 시각화했다.
14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현대카드 컬처프로젝트30 손민수& 임윤찬’ 공연은 한국을 대표하는 두 피아니스트의 기량을 귀로 즐길 뿐 아니라 음악 세계를 공유한 스승과 제자가 서로 다른 세계를 풀어내는 방식을 보는 것까지 흥미진진한 순간이었다.
임윤찬이 열세 살 때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재교육원에서 시작한 사제의 연을 보여 주듯 이날 공연은 피아노 배치도 달랐다. 보통은 마주 보며 연주하지만 이번엔 서로의 왼쪽을 맞대 고개를 옆으로 돌려 눈빛을 교환하고 호흡을 맞춰 갔다.
1부는 요하네스 브람스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바단조’로 장식했다. 리듬감 있는 1악장과 내밀하게 대화하는 2악장을 거쳐 3악장 스케르초와 4악장 피날레에선 두 연주자가 경쾌하게 격렬한 음악을 교차하며 긴장감을 고조시켰다.
2부에서 손민수가 임윤찬에게 제1피아노 자리를 내어주면서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교향적 무곡, Op.45’을 더욱 강렬하게 풀어내도록 했다. 두 연주자가 쉴 틈 없이 리듬을 타고 감정을 실으며 오케스트라의 웅장함을 표현한 격정적인 연주가 끝나자 청중도 그제야 멈춘 숨을 내쉬며 탄성을 뿜었다.
이어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장미의 기사 모음곡’은 확실히 공연의 하이라이트다웠다. 작곡가 이하느리(19)의 편곡 버전은 가장 왼쪽 건반의 묵직한 음부터 맨 오른쪽 가벼운 고음까지 빠르게 넘나들며 음의 향연을 선사했다. 피아니스트에게는 ‘혹사’에 가깝지만 청중에게는 피아노의 모든 기량을 마음껏 즐기는 기회였다. 연주가 얼마나 힘든지 클라이맥스쯤엔 임윤찬이 땀을 닦듯 오른손으로 턱을 빠르게 훔치고는 다시 연주하는 모습도 보였다.
격정적인 연주가 끝나자 관객들은 기립 박수로 호응했고, 스승과 제자는 손을 맞잡은 채 관객에게 인사하며 화답했다. 이날 앙코르는 이하느리가 편곡한 ‘장미의 기사 모음곡’ 중 ‘퀵 왈츠’였다.
15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도 공연한 두 피아니스트는 16일부터 스위스에서 열리는 ‘2025 베르비에 페스티벌’ 무대에 같이 선다.
2025-07-1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