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명종의 태실, 첫 보물 승격 조선 중종 33년(1538)에 건립된 뒤 480년간 한자리를 지킨 조선 제13대 왕 명종(1534~1567)의 태실(胎室)이 보물이 됐다. 태실은 조선 왕실에서 아이가 태어나면 태를 항아리에 봉안한 뒤 조성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문화재청은 충남 유형문화재인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976호로 지정했다고 26일 밝혔다. 태항아리와 망자의 인적 사항을 적은 지석(誌石)은 일제강점기인 1928년 고양 서삼릉으로 옮겨졌다가, 현재는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조선 태실 유적 중에는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이 사적 제444호로 지정됐지만, 보물로 지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은 팔각형 난간석에 둘러싸인 태실과 태를 모신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태실비 3기. 서산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조선 명종의 태실, 첫 보물 승격
조선 중종 33년(1538)에 건립된 뒤 480년간 한자리를 지킨 조선 제13대 왕 명종(1534~1567)의 태실(胎室)이 보물이 됐다. 태실은 조선 왕실에서 아이가 태어나면 태를 항아리에 봉안한 뒤 조성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문화재청은 충남 유형문화재인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976호로 지정했다고 26일 밝혔다. 태항아리와 망자의 인적 사항을 적은 지석(誌石)은 일제강점기인 1928년 고양 서삼릉으로 옮겨졌다가, 현재는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조선 태실 유적 중에는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이 사적 제444호로 지정됐지만, 보물로 지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은 팔각형 난간석에 둘러싸인 태실과 태를 모신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태실비 3기. 서산 연합뉴스
조선 중종 33년(1538)에 건립된 뒤 480년간 한자리를 지킨 조선 제13대 왕 명종(1534~1567)의 태실(胎室)이 보물이 됐다. 태실은 조선 왕실에서 아이가 태어나면 태를 항아리에 봉안한 뒤 조성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문화재청은 충남 유형문화재인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976호로 지정했다고 26일 밝혔다. 태항아리와 망자의 인적 사항을 적은 지석(誌石)은 일제강점기인 1928년 고양 서삼릉으로 옮겨졌다가, 현재는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조선 태실 유적 중에는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이 사적 제444호로 지정됐지만, 보물로 지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은 팔각형 난간석에 둘러싸인 태실과 태를 모신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태실비 3기.
서산 연합뉴스
2018-03-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