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三國史記) 일부와 지난해 국내 극현대 문학 서적 경매에서 최고 낙찰가를 기록한 ‘혈의 누’ 재판본이 경매에 나왔다.
문화·예술 분야 경매업체인 코베이옥션은 다음달 5일 열리는 온라인 경매에 삼국사기 일부와 우리나라 최초의 신소설로 불리는 이인직(1862∼1916)의 ‘혈의루’(血─淚) 재판본 등 600여점이 출품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경매에 나온 삼국사기 일부 코베이옥션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경매에 나온 삼국사기 일부 코베이옥션 제공
삼국사기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1075~1151)을 비롯한 문신들이 1145년 완성한 삼국시대사(史)로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역사서다. 신라·고구려·백제의 흥망과 변천을 상세하게 정리해 역사 연구의 시초가 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1573년 경주 일대에서 찍은 옥산서원 소장본, 옥산서원 삼국사기와 유사한 목판을 인출(印出)한 것으로 추정되는 판본 등 50권 9책을 갖춘 완질본 2건이 현재 국보로 지정돼 있다.
경매에 나온 것은 권22∼권26에 해당하는 부분을 1책으로 묶은 것으로 경매 시작가는 1억 5000만원이다.
코베이옥션 측은 “옥산서원 본과 비교했을 때 16세기 후반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며 “어느 판본을 막론하고 아주 드물고 희귀한 사료”라고 설명했다.
또 ‘혈의 누’ 재판본과 1908년 발행된 ‘치악산’ 초판본, 시인 백석(1912∼1996)의 ‘사슴’ 초판본 등도 나왔다. ‘혈의 누’는 1894년 청일전쟁 피란길에서 부모를 잃은 일곱 살 여주인공 ‘옥련’의 기구한 운명을 그린 우리나라 최초의 신소설이다. ‘혈의 누’는 초판 발행 1년 만에 재판을 찍었다고 전해지는데, 1910년 한일합방 직후 발행이 금지되면서 남아 있는 소설집은 몇 부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2월 ‘혈의 누’ 재판본은 2억 5000만원에 낙찰되면서 국내 근현대 문학 서적 경매에서 낙찰 최고가 기록을 경신하기도 했다.
이번 경매는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주요 출품작은 오는 28일부터 다음달 5일 정오까지 코베이옥션 전시장에서 볼 수 있다.
윤수경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