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를 즐기는 새로운 방식…독립애니메이션 감독 초청 ‘애니살롱전’ 주목

애니를 즐기는 새로운 방식…독립애니메이션 감독 초청 ‘애니살롱전’ 주목

입력 2017-08-04 11:07
수정 2017-08-04 11: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명동역 창작인마을 ‘재미랑5호’ 3층, 애니살롱서 매달 열려

이미지 확대
‘만화의 상상력을 담은, 걷고 싶은 거리’ 재미로는 명동역 3번 출구 앞 상상공원을 시작점으로 서울애니메이션센터에 이르는 만화의 거리다. 명동역에서 재미로 바닥에 그려진 ‘남산이’를 따라 올라가면 상상 공원을 비롯한 5개 만화문화 정류장과 문화공간 재미랑을 만나볼 수 있다.
‘만화의 상상력을 담은, 걷고 싶은 거리’ 재미로는 명동역 3번 출구 앞 상상공원을 시작점으로 서울애니메이션센터에 이르는 만화의 거리다. 명동역에서 재미로 바닥에 그려진 ‘남산이’를 따라 올라가면 상상 공원을 비롯한 5개 만화문화 정류장과 문화공간 재미랑을 만나볼 수 있다.
서울시와 SBA 서울애니메이션센터는 2013년부터 만화의거리 재미로에 문화공간 재미랑을 운영하며, 콘텐츠기업과 창작자가 입주해 다양한 문화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해왔다.

‘만화의 상상력을 담은, 걷고 싶은 거리’ 재미로는 명동역 3번 출구 앞 상상공원을 시작점으로 서울애니메이션센터에 이르는 만화의 거리다. 명동역에서 재미로 바닥에 그려진 ‘남산이’를 따라 올라가면 상상 공원을 비롯한 5개 만화문화 정류장과 문화공간 재미랑을 만나볼 수 있다. 1호부터 6호까지 조성된 재미랑은 각기 다른 콘텐츠와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꾸며져 있어 풍성한 문화체험을 제공한다. 이 중 독립애니메이션만의 특별한 매력을 보다 가까이서 직접 체험해 보고 싶다면 명동역에 위치한 창작인마을 ‘재미랑5호’ 3층에 자리잡은 ‘애니살롱’에 방문해 보자.

재미랑 ‘애니살롱’은 독립애니메이션 관련된 판매, 상영, 전시, 행사 등을 다양하게 만나볼 수 있는 공간으로, 쉽게 만나보기 힘든 독립애니메이션 상품 및 DVD 판매는 물론 회의, 체험 공간으로 활용되는 커뮤니티룸과 전시장을 갖추고 있다.

특히 전시장에서는 매달 독립애니메이션 감독을 초청, 개인전인 ‘애니살롱전’이 개최돼 애니살롱을 찾는 애니메이션 팬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이번 달로 4회째를 맞은 ‘애니살롱전’에서 회를 거듭할수록 많은 입소문을 타고 많은 관람객들이 방문하는 등 애니살롱의 대표적인 문화행사로 자리매김하는 모습이다.

8월의 애니살롱전은 ‘Afternoon Class’로, 안시와 자그레브 등 다양한 영화제에서 초정 및 수상한 오서로 감독의 개인전이 진행 중이다. 오서로 감독은 일러스트레이터로도 활동 중으로, 유튜브에 팬메이드 쇼트 트랜스포머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게시하며 채널 가입자 11만을 돌파한데 이어 전체 1억 5천만 뷰 기록하며 온라인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 2일에는 전시 오픈 기념으로 오서로 감독의 작품 상영과 함께 오픈 토크 행사가 진행됐으며, 오는 12일 오후 3시에는 비슷한 테마를 가진 독립애니메이션을 묶어 상영하는 ‘테마상영 : 인디 로봇 대전’ 상영 및 감독과의 대화 시간이 진행될 예정이다.

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KIAFA) 관계자는 “애니살롱전에 대한 애니메이션 팬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연말까지 지속적으로 퀄리티 높은 개인전을 선보일 것”이라며 “9월에는 강민지와 김준서 감독의 ‘Between? Be Twin?’ 전시가, 10월에는 인디애니페스트 특별전이, 11월에는 함준서 감독, 12월에는 정민영 감독의 전시가 진행될 예정이니 독립애니메이션을 사랑하는 관객들의 많은 관심 부탁 드린다”고 전했다.

한편 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KIAFA)는 자유와 비판, 실험과 도전, 개척과 불굴의 정신으로 기존의 애니메이션 산업구조를 바탕으로 하는 상업적인 제작체계와는 다른 길을 모색하고 실천해온 독립 애니메이션 창작자 및 관련 종사자들이 모인 단체다.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 동대문구 제4선거구)은 지난 1일 서울시립아동힐링센터(동대문구 답십리로69길 106) 개소식에 참석, 서울시의 아동에 대한 심리·정서 공공치료 기반 마련에 대한 기대와 환영의 뜻을 전했다. 서울시 아동양육시설 내 전체 아동 1591명 중 약 43%에 해당하는 679명이 정서적·심리적 집중 치료가 필요한 상황에서, 이번 센터 개소는 공공 차원의 본격적인 대응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는 ADHD, 우울, 외상 경험 등으로 치료가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최대 6개월간 입소 치료를 제공하며, 심리상담사, 사회복지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놀이치료사 등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맞춤형 비약물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치료 종료 후 아동은 원래 생활하던 양육시설로 귀원하거나, 재입소할 수 있다. 신 의원은 축사에서 “서울시아동힐링센터는 단순한 보호시설을 넘어, 상처 입은 아동의 마음을 치유하고 회복의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이라며 “이곳에서 아이들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키워나가길 진심으로 바란다”라고 전했다. 이어 “서울시가 정서적 돌봄을 제도화하고, 전문가의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