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부통령의 ‘중국 촌놈’ 비하에 中 관영지 “충격적”

美 부통령의 ‘중국 촌놈’ 비하에 中 관영지 “충격적”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25-04-08 16:49
수정 2025-04-08 16: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J D 밴스 미국 부통령. AP 연합뉴스
J D 밴스 미국 부통령. AP 연합뉴스


미국 부통령이 방송 인터뷰에서 중국인 비하 발언을 해 중국이 반발했다.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8일 ‘시장 혼란 속 미국 관료들의 중국 관련 발언이 미국 네티즌을 경악하게 한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JD 밴스 미국 부통령 발언을 소개했다.

밴스 부통령은 지난 3일(현지시간) 폭스뉴스에 출연해 트럼프의 관세 정책의 당위성을 설명하던 중 “우리는 중국 촌놈들(peasants)에게서 돈을 빌려 물건을 산다. 그리고 그 물건은 중국 촌놈들이 만든 것”이라고 했다.

공식 인터뷰 자리에서 시골 소작농과 농노 등을 낮춰 부르던 말에서 유래한 ‘촌놈들’이라는 비하성 용어를 ‘중국인’ 또는 ‘중국 근로자’ 대신 사용한 것이다.

글로벌타임스는 “백악관 고위 관계자가 중국과 관련해 충격적인 발언을 했다”면서 “이는 미국의 전방위적 상호관세를 포함한 경제정책에 대한 반발이 커지는 가운데 나온 것”이라고 했다.

미국 뉴스 매체 버즈피드는 “밴스 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정책에 관해 이야기하면서 중국인을 모욕하는 발언을 했다”라면서 “밴스 부통령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은 미국인을 전 세계적으로 창피하게 만드는 일”이라고 했다.

밴스 부통령 외에도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최근 주식시장 폭락의 원인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아닌 중국의 인공지능(AI) 챗봇 모델인 딥시크의 출현을 지목했다고 보도한 로이터통신을 인용해 글로벌타임스는 비판하기도 했다.

베센트 장관은 최근 한 보수 논객과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의 경제 정책 때문에 주가가 하락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말하고 싶은 것은, 이 하락이 딥시크 발표와 함께 시작됐다는 점”이라고 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 부통령이 이처럼 무지하고 무례한 말을 한 것을 들으니 의아하기도 하고 슬프기도 하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