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표 ‘뚝뚝’… ‘전쟁의 늪’ 빠진 이스라엘

경제지표 ‘뚝뚝’… ‘전쟁의 늪’ 빠진 이스라엘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4-10-06 23:58
수정 2024-10-06 2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성장률 1%대·전쟁비 89조원 전망
네타냐후 실권 땐 정치 아닌 경제 탓

이미지 확대


1년간 이어진 전쟁에서 이스라엘은 하마스와 헤즈볼라를 상대로 상당한 전과를 거둔 것처럼 보이지만 막대한 전쟁 비용에 국가 경제가 급격히 무너지며 상처뿐인 승리만을 남겼다.

이스라엘 경제연구원은 최근 “이스라엘 경제가 내년까지 회복될 조짐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며 “각종 경제지표가 악화하고 외국인 투자가 줄면서 이스라엘의 미래는 암울하다”고 평가했다고 5일(현지시간) 아나돌루통신이 보도했다. 가자전쟁 발발 전 국제통화기금(IMF)은 이스라엘 경제성장률을 올해 3.4%로 전망했지만 전쟁 이후 1%대로 하향 조정했다.

경기 부양책이 절실한 시점이지만 아미르 야론 이스라엘 중앙은행 총재는 “전쟁 비용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 가속화 때문에 적어도 2025년 하반기까지 기준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스라엘 중앙은행은 2025년 말까지 전쟁 비용이 660억 달러(약 89조원)에 달할 것으로 봤다. 이는 이스라엘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12% 이상에 달한다.

이스라엘 군사 싱크탱크 국가안보연구소(INSS)는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이후 ‘잃어버린 10년’을 떠올리게 하는 경기 침체를 겪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스라엘의 예산 적자는 1년 만에 이스라엘 GDP의 4%에서 두 배인 8%로 늘었다. 지난달 이스라엘 재무부는 내년도 정부 지출안의 크네세트(이스라엘 의회) 제출을 이달로 미루면서 2025년 정부 지출을 350억 세겔(약 12조 3700억원) 삭감해 균형 재정을 이루겠다고 발표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하마스와 헤즈볼라 최고지도자 연쇄 암살, 이란의 대규모 미사일 보복 방어 등 가시적 전과를 올리면서 국내 여론의 반전을 이뤘지만 결국 실권 위기는 ‘정치’가 아닌 ‘경제’에서 비롯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카미트 플루그 전 이스라엘 중앙은행 총재는 미국 CNN방송에서 이스라엘 경제의 약 20% 비중을 차지하는 첨단·기술 기업이 미국 등으로 이전하고 고학력 엘리트가 이스라엘을 떠날 우려가 커졌다고 지적했다. 이스라엘 기업을 분석하는 ‘코페이스 BDi’는 올해 이스라엘 기업 6만개의 폐업을 전망했는데 대부분 5인 이하 기술 스타트업으로 분석했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상당수 이스라엘인이 전쟁터로 떠나면서 이스라엘 기업들은 인력난을 겪고 있다.
2024-10-07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