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 어린이 350명 구한 ‘축구 쉰들러’ 로잉게 108세로 타계

유대 어린이 350명 구한 ‘축구 쉰들러’ 로잉게 108세로 타계

임병선 기자
입력 2018-12-31 09:21
수정 2018-12-31 11: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대인 어린이들을 축구로 구한 조르쥬 로잉거는 2005년 프랑스 최고 훈장인 레종 도뇌르를 받았다. AFP 자료사진
유대인 어린이들을 축구로 구한 조르쥬 로잉거는 2005년 프랑스 최고 훈장인 레종 도뇌르를 받았다.
AFP 자료사진
2차 세계대전 때 독일이 점령한 프랑스에서만 7만 5000여명의 어린이가 아우슈비츠 등 수용소에 끌려가 목숨을 잃었다. 죽음이 언제 덮칠지 모르는 유대인 아이들을 스위스 국경에 데려간 뒤 축구 공을 국경 너머로 던진 뒤 아이들을 뒤쫓게 해 국경을 넘게 도왔다.

프랑스의 홀로코스트 추모재단은 이렇게 350명의 유대인 어린이들을 구한 레지스탕스 대원 조르쥬 로잉게가 10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가 언제 어디에서 영면에 들었는지는 30일(현지시간) 소식을 전한 영국 BBC도 밝히지 않았다.

스트라스부르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그 역시 프랑스 육군에 복무하다가 독일 나치에 붙들렸다. 하지만 금색 머리에 푸른 눈동자였던 그의 용모는 유대인 혈통임이 드러나지 않게 했고 1940년 전범 수용소에서 탈출할 수 있었다. 그는 다시 프랑스로 돌아와 부모가 살해되거나 수용소로 보내진 아이들을 돕는 일을 했다. 1912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발족된 Oeuvre de Secours aux Enfants(OSE)란 단체와 연을 맺어서였다.

생전의 인터뷰를 통해 “국경 근처의 축구 경기장을 눈여겨 봐뒀다. 2.5m의 담장을 내가 세웠다. 아무도 없는 것을 확인한 뒤 아이들이 축구를 하게 만든 다음 담장을 뛰어넘어가라고 얘기한 뒤 아이들에게 공을 차줬다”고 털어놓았다. 물론 이탈리아 군대에 의해 점령돼 국경 수비가 헐거웠던 1943년 4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가능했던 일이었다. 그 뒤 독일군이 진주하자 그같은 일은 꿈도 꾸지 못했다.

유대인 아이들을 구한 또다른 방법은 순례자로 변장시킨 뒤 프랑스와 스위스 국경 근처 묘지에 데려가는 것이었다. 도굴꾼들의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영세중립국으로 넘어가면 그만이었다.

그의 사촌이 같은 레지스탕스 대원 출신인 판토마임 예술가 마르셀 마르소란 사실도 흥미롭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