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에 미군 영구 기지 ‘포트 트럼프’ 생기나

폴란드에 미군 영구 기지 ‘포트 트럼프’ 생기나

이석우 기자
입력 2018-09-19 23:14
수정 2018-09-20 02: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두다 “기지 건설 땐 美에 20억弗 지불”…트럼프 “가능한 일이라 생각” 긍정 화답

폴란드에 ‘포트 트럼프’란 이름의 미군 기지가 생길 가능성이 높게 됐다.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미국이 폴란드에 상주 미군기지 건설을 결정할 경우, 기지 이름을 ‘포트 트럼프’로 명명하자고 제안했다. 두다 대통령이 “폴란드에 미군 영구기지를 건설한다면 20억 달러(약 2조 2480억원) 이상을 미국에 지불하겠다”고 밝힌 데 이은 제안으로 미군 주둔기지를 유치하려는 폴란드의 강력한 의지를 엿보게 한다. 이 같은 발언은 미국을 방문 중인 두다 대통령이 이날 동유럽에서 러시아의 군사 활동 증가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집중적으로 논의한 뒤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나왔다.

폴란드의 미군 주둔기지 유치 노력에다, 트럼프 대통령은 물론 미 의회 및 국방부도 폴란드에 미군 상주기지 건설에 긍정적인 기류여서 영구기지 실현은 시간문제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공동 기자회견에서 기지 이름을 ‘포트 트럼프’로 하겠다는 두다 대통령의 제안에 대해서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긍정적으로 화답했다.

폴란드 측은 최근 러시아의 위협이 커지고 있으며 러시아의 침공 가능성을 경계해 3000명의 미군이 자국에 상주하기를 원하고 있다. 미 의회는 이 문제와 관련, 국방부가 타당성 분석을 해 그 결과를 내년 3월 1일 전까지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내년 초쯤 폴란드에 상주 기지를 설치하고 주둔하는 문제를 매듭지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폴란드에는 러시아군의 크림반도 진주와 합병 선언 이후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차원에서 미군 3000명이 임시로 상주하고 있다. 폴란드는 러시아 군사력 견제를 위한 미국 주도의 미사일방어체제에도 들어가 있다.

두 정상은 러시아의 위협 및 군사협력 문제 외에도 무역 및 에너지 문제에 대해서도 집중 논의했다. 폴란드는 러시아에 대한 가스 수입 의존을 줄이기 위해 미국으로부터의 액화천연가스 수입을 늘리기를 희망하고 있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가래여울변 한강 산책로 조성 이어 자연친화 쉼터 조성 본격화

‘강동엄마’ 박춘선 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인 지난 21일 미래한강본부 담당자들과 함께 강동구 가래여울 한강변을 찾았다. 이번 방문은 지난 산책로 조성 이후 변모된 현장을 살피는 차원에서 진행됐다. 가래여울 한강변은 상수원보호구역이자 생태경관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상당 기간 방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박 의원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주민들이 산책하고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탈바꿈해 나가는 중이다. 이날 박 의원은 현장점검에서 새로 교체된 막구조 파고라와 산책로 주변 수목 정비 및 6월 1차 풀베기와 가지치기 작업 상황을 살펴보고, 이어서 7월 중 실시될 2차 풀베기 일정까지 꼼꼼히 챙겨봤다. 박 의원은 관계자들과 함께 장마로 훼손된 잔디와 생태교란식물 제거, 편의시설 보강 등 세부적인 관리 개선책을 논의하며 가래여울 한강변을 “방치된 공간에서 시민들이 사랑하는 쉼터로 만드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적극 행정을 펼칠 것을 주문했다. 이날 현장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두 가지 사업을 집중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올해 7월부터 9월까지는 간이 피크닉장을 조성하여 ▲평의자 4~5개와 안내표지판을 설치하고 ▲토사 유출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가래여울변 한강 산책로 조성 이어 자연친화 쉼터 조성 본격화

이석우 선임기자 jun88@seoul.co.kr
2018-09-2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