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중간선거 승자는 페북?

美중간선거 승자는 페북?

최훈진 기자
입력 2018-11-05 22:54
수정 2018-11-05 23: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화·민주 의원들 페북 광고에 3300억원 지출

블룸버그 前시장, 민주 지원하는 TV광고 연설

“페이스북에 광고를 하거나 선거 패배의 위험을 무릅쓰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만 하는 것이 정치적 현실이다.”

지난 4월 개인정보 유출 문제로 미국 의회 청문회에 불려나간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를 매섭게 몰아세웠던 정치인들이 중간선거를 앞두고 페이스북 광고에 약 3억 달러(약 3371억원)를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했다.

6일 중간선거에서 수성(守城)과 탈환을 노리는 상·하원 의원들이 당파를 떠나 페이스북 광고를 사기 위해 엄청난 규모의 자금을 쏟아붓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초당적 기구인 정치대응센터에 따르면 전체 디지털 광고에서 정치 광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현재까지 22%(19억 달러)를 기록하며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2014년 중간선거 때는 1%에 불과했었다.

저커버그를 향해 맹공을 퍼부었던 하원 의원 55명 가운데 29명(52.7%)은 페이스북 픽셀을 보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픽셀은 페이스북이 사용자들의 웹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게 도와주는 코드 중 하나로, ‘타깃 광고’를 위한 정보수집 용도로 활용된다.

특히 청문회에서 “당신은 페이스북이 사용자 정보를 어디까지 수집하는지조차 모른다”며 저커버그를 강도 높게 압박한 데비 딩겔 민주당 하원의원조차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유권자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기 위해 또 다른 테크 기업의 픽셀을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WSJ는 “페이스북에 광고하지 않으면 낙선한다는 위기의식이 워싱턴 정가를 압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민주당의 잠재적 차기 대선주자로 꼽히는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은 이날 500만 달러(약 55억원)의 자비를 들여 민주당을 지원하는 전국 TV광고 연설에 나섰다. 블룸버그는 2분 동안의 연설에서 자신이 중도주의 노선임을 강조하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맞서겠다고 공언했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8-11-0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