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위터 로고. AFP 연합뉴스
지난주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SNS) 기업 페이스북에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요 언로인 트위터의 주가가 폭락하자 미 언론들은 28일(현지시간) 이같은 전망을 쏟아냈다.
워싱턴포스트는 이날 쓴 기고에서 페이스북과 트위터가 마이스페이스의 전철을 밟아나가는 양상이라고 분석했다. 마이스페이스는 2005년 미 언론재벌 루퍼트 머독이 이끄는 뉴스코퍼레이션(뉴스코프)이 5억 8000만 달러(약 6487억원)에 인수해 화제가 됐으나 2008년 페이스북에 선두를 뺏기며 추락했다.
비슷한 시기 야후의 10억 달러 인수 제안을 거절한 페이스북은 10여년간 승승장구하며 신화를 써왔다. 마이스페이스가 개인공간으로 여겨지던 SNS를 수익구조화하는 데 고전한 반면 페이스북은 소셜피드·게임 등으로 이용자 수를 22억명까지 불렸다.
그러나 미 SNS 기업의 고성장을 주도해온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암운이 드리우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지난 수개월간 개인정보 유출 사태로 곤욕을 치른 페이스북은 지난 26일 2분기 실적 발표 직후 주가가 18.96% 급락하면서 하루에 1197억 달러(약 134조원)의 시가총액이 날아갔다.
주주들은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를 상대로 27일 소송을 제기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페이스북 주주 제임스 케이쿠리스는 맨해튼 연방법원에 제출한 소장에서 페이스북과 저커버그, 데이비드 위너 최고재무책임자(CFO)가 주주들을 오도하는 잘못된 발표를 하거나 매출증가율 둔화, 영업이익률 하락, 실사용자 감소 내역을 공개하지 않았다는 혐의를 제기했다. 캘리포니아 북부 지방법원과 뉴욕 남부 지방법원에도 저커버그 등을 상대로 한 집단소송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 AFP 연합뉴스
GBH인사이츠 애널리스트 대니얼 이브스는 CNN머니에 “트위터와 페이스북이 이제 어느 정도까지는 그들의 사업모델을 바꿔야 할 때가 됐다”며 “광고로 돈을 긁어모으던 관행에서 벗어나 유럽의 더 강력한 규제에 집중해야 하고 보안과 데이터 수집 관행의 변화에 적응해야만 한다”고 덧붙였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사업 모델이 다르지만, 궁극적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내 광고를 보여준다는 점은 동일하다. 그동안 자극적이고 사람들의 입에 더 많이 회자하는 이슈에 초점을 맞췄지만 앞으로는 사용자들을 위해 균형을 맞추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